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연속 태풍 때문에…” 올해 쌀 생산량 407만4000t, 3.5%↓
[헤럴드경제=서경원 기자]올해 쌀 생산량이 재배면적 감소와 태풍 피해로 지난해보다 3.5% 줄어들 것으로 전망됐다. 2010년 이후 3년째 감소세다.

통계청이 15일 발표한 ‘2012년 쌀 예상 생산량 조사 결과’를 보면 생산량은 현백률(쌀 환산비율) 기준을 9분도(92.9%)로 적용하면 407만4000t으로 지난해 422만4000t보다 15만t(3.5%) 줄었다.이는 냉해로 생산량이 이례적으로 급감했던 1980년의 355만t 이후 32년 만에 가장 적은 규모다.

현백률을 산지 미곡종합처리장에서 실제 사용하는 12분도(90.4%)로 적용하면 올해 쌀 생산량은 411만t으로 지난해보다 3.5% 줄었다.

올해 벼 재배면적은 84만9000㏊로 지난해보다 0.5% 감소해 2002년 이후 11년째 감소세다.


단위면적(10a) 당 쌀 생산량은 481㎏으로 지난해의 496㎏보다 3.0% 감소했다.

통계청은 “벼 재배 면적의 감소폭보다 쌀 생산량의 감소폭이 큰 것은 8월 말 태풍 ‘볼라벤’과 ‘덴빈’으로 벼 이삭이 말라 죽는 백수 피해의 영향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풍수해 피해구역 비율은 지난해 2.4%였으나 올해는 17.2%로 늘었고 이삭당 완전낟알 수도 지난해 78.4개에서 올해는 71.9개로 급감했다. 도별 쌀 예상 생산량은 충남(80만2000t), 전남(72만9000t), 전북(62만7000t) 순이다.

gil@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