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 대선후보들도 양보못하는 위원회…MB데자뷔?
朴 통합 대통령 · 文은 일자리 대통령…
박근혜 새누리당 대선후보의 공식 타이틀이 세 개에 이른다. ‘새누리당 대선후보’라는 대표 명함 외에도 캠프 내 ‘공약위원장’과 ‘국민대통합위원장’이라는 실무(?) 타이틀도 갖고 있다. 문재인 민주통합당 대선후보도 ‘민주당 대선후보’라는 명함과 함께 ‘일자리혁명위원장’이라는 타이틀을 고집했다. 새누리당은 국민대통합이, 민주당은 일자리혁명이 대선후보도 절대 양보 못하는 위원회인 셈이다.

사실 대선후보가 직접 특정 위원회의 위원장직을 맡은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2007년 대선 당시 이명박 후보는 ‘경제살리기특위위원장’을 직접 맡아 ‘경제대통령’ 이미지를 굳혔다. 노무현정부에 대한 반작용으로 ‘경제살리기’를 대문 명패로 걸어놓은 만큼 ‘경제살리기특위’를 자신이 직접 챙기겠다는 의지의 표현에서다.

박 후보가 공약위원과 국민대통합위원회를 직접 챙기는 것도 이와 무관치 않다. 국민대통합은 박 후보가 새누리당 전당대회에서 공식 후보로 지명된 후 곧바로 고 노무현 전 대통령의 묘소와 김대중 전 대통령의 묘역을 방문했을 정도로 가장 공을 들이는 부분이다.

박 후보 캠프 측 핵심 관계자는 “국민대통합은 박 후보가 2009년 세종시를 사수하기 위해 끝까지 소신을 굽히지 않았을 정도의 강도라고 보면 된다”며 “박 후보에게 이번 대선에서 국민대통합은 절대 양보할 수 없는 원칙”이라고 설명했다.

문 후보는 ‘일자리’에 방점을 찍고 있다. 문 후보는 대선 출마 선언 때도 첫머리에 ‘일자리 대통령’을 제시한 바 있다. 여기엔 ‘양질의 일자리’를 만드는 것이 대통령 개인의 의지만으로는 한계가 있다는 고심의 산물로 해석된다. ‘일자리 몇개’라는 방식의 대선 공약이 결국 ‘공무원 수 늘리기’ 경쟁으로 이어졌던 것에 대한 반성도 담겨 있다.

문 후보는 정부의 산업육성을 통한 일자리 창출과 노동계 내에서의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화해와 협력 그리고 사측과 노측의 상호 신뢰관계 회복 등 여러 측면에서 ‘일자리’가 조망돼야만 실질적인 ‘일자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이 과정에서 일자리혁명위원회가 그 구심점이 되고, 대통령이 직접 갈등을 조정해야 국민에게 실질적인 양질의 일자리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게 문 후보의 생각이다.

<홍석희 기자>
/hong@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