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다시 태어나면 일밖에 모르는 김우중과 결혼 안할것”
정희자 관장, 한국여성 최초 ‘몽블랑 문화예술 후원자상’ 수상
앤디 워홀 등 국내에 처음 소개



김우중(76) 전(前) 대우그룹 회장의 부인인 정희자(72) 아트선재센터 관장이 ‘몽블랑 문화예술 후원자상(賞)’을 받는다. 독일의 몽블랑문화재단은 26일 저녁 밀레니엄서울힐튼호텔에서 정 관장에게 제21회 ‘몽블랑 문화예술 후원자상’을 수여한다.

몽블랑상은 활발한 문화예술 후원활동으로 문화예술계 발전에 기여한 인물에게 수여하는 세계적인 상으로, 지난 20년간 10여개국에서 177명이 수상했다. 국내에서는 박성용 전 금호그룹 회장 등 7명이 받았으며, 정 관장은 한국 여성으로는 최초로 상을 받는다. 그는 이 상의 상금 1만5000유로를 평소 후원해온 부산 국제영화제에 전달할 예정이다.

정 관장은 25일 밤 헤럴드경제와의 통화에서 수상 소감과 근황을 들려줬다. 대우그룹 해체 후 김 전 회장이 여간해선 심정을 토로하지 않는 상황에서 부인은 가슴 깊이 묻어둔 소회도 전했다.

정 관장은 “미술계를 떠난 지 10년이 지났는데 상을 받게 돼 뜻밖이다. 딸(김선정 부관장)이 잘하고 있어 난 그저 뒤에서 보고만 있는데…. 기쁘기보다는 마음이 무겁다”며 “젊은 사람들이 날 기억해줘 고마울 뿐”이라 했다.


소감은 이렇게 피력했으나 정 관장은 남편이 지구촌 곳곳을 누비며 ‘세계경영’을 하는 동안 ‘예술경영’을 해온 인물이다. 김 전 회장이 너무 일에 빠져 지내느라 다른 곳엔 눈길조차 주지 않자 그는 서울힐튼, 경주힐튼 등 7개의 호텔을 연달아 만들며 호텔을 통해 예술경영에 매진했다.

“중국 베이징과 옌지, 알제리, 모로코, 베트남에 호텔을 만들었는데 기왕이면 그 지역의 실력 있는 작가를 발굴해 작품을 걸려고 했다. 그 바람에 그 지역에선 내가 좋은 아티스트를 뒤지고 다닌다는 소문이 났다”고 했다. 그는 미술품뿐 아니라 호텔 내외부 장식은 물론 객실에 비치되는 작은 파우치 하나까지 예술적으로 하려고 힘을 쏟았다. 때문에 그가 경영했던 호텔들은 “예술적 수준이 다르다”는 소문이 퍼지곤 했다.

뿐만 아니라 그는 국내에 현대미술이라는 용어조차 생소할 무렵이던 1991년 경주에 한국 최초의 사립 미술관인 선재미술관을 설립했다. 선재는 아까운 나이에 유명을 달리한 그의 장남의 이름이다. ‘워홀과 바스키아’(1991), ‘칼더’(1993) 전 등 괄목할 만한 전시를 잇달아 개최한 것은 물론 독일 프랑스 등의 첨단 미술을 국내에 소개했다. 해외여행이 흔치 않던 시절이라 의미가 컸다. 1998년에는 소격동에 아트선재센터를 건립해 대중이 현대미술과 가까워지는 계기를 마련하기도 했다. 또 서도호 이불 김홍석 등 국제무대에서 통할 수 있는 작가를 키우는 일에도 앞장섰다. 정 관장은 1996년 1회 부산 국제영화제에 ‘선재상(賞)’을 제정, 시상하는 등 유능한 영화인 지원과 영화 발전에도 이바지해왔다.

그에게 “대우가 공중분해될 것을 알았느냐”고 묻자 “알았으면 그렇게 앉아서 당했겠느냐?”고 답했다. 이어 “이런저런 비판도 있지만 남편은 세계경영을 피력하며 ‘세계가 다같이 잘사는 시대’를 꿈꿨다. 오늘 다시 봐도 정말로 큰 그림을 그렸다. 아직도 나는 남편과 같은 그런 큰 그림을 그리는 사람을 만나지 못했다. 그런 점에서 대우의 명예 회복을 간절히 바란다”고 했다.

얼마 전까지도 재계에선 김 회장의 ‘경영복귀설(說)’이 솔솔 나왔다. 그러나 그는 “남편의 건강상 이제 4~5년 정도 남았다. 국내에선 어려울 것이다. 물론 베트남 미얀마 등지에선 아직도 조언을 요청하는 곳이 많고, 미래 전략 등에 관해 묻는 이들이 많아 여전히 바쁘다”고 전했다. 베트남과 미얀마에서 일 년의 대부분을 보내는 남편 뒷바라지를 위해 그 역시 일 년의 절반쯤은 베트남에서 지낸다.

다시 태어나도 김 회장과 결혼하겠느냐는 질문에는 “다시 태어나면 일밖에 모르는 김우중과는 결혼 안 할 것이다. 다정다감한 사람과 살아봐야지”라고 했다. 그러면서도 “친구 소개로 김 회장을 만났는데 열정에 반해 결혼했다. 최소한 굶기진 않을 것 같았다”고 했다.

대우가 강제로 해체된 이래 정 관장과 김 회장은 큰 고통을 겪었다. 화병이 생겨 번갈아가며 병원신세를 지곤 했다. 정 관장도 장ㆍ위 수술 등을 7~8차례나 하며 죽음 문턱까지 갔었다. 그러나 이젠 가슴속 응어리를 많이 삭혔다고 했다.

그는 창립 50주년에는 ‘대우사(史)’가 나올 것이라며 “회장이나 나나 이제는 역사 속으로 사라질 사람이지만 대우의 도전정신만은 이어져야 하지 않겠느냐”며 말을 맺었다.

<이영란 선임기자>
/yrlee@heraldcorp.com

<사진=정희조 기자>
/checho@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