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이영란 선임기자의 art & 아트> 잿빛 가림막에 걸린 작품…첫 인상부터 심상치않다
시민과 협업 전혀 다른 부산비엔날레
前대통령 저택쓰레기로 만든 ‘오데사…’
해고노동자 낡은 신발 늘어선 ‘새벽3시’

‘관습의 파괴’ 콘셉트로 새로운 시도
광주 등 아픈 근현대사 집중 조명도


‘비엔날레’라는 이름에 걸맞는 근사한 조형물을 기대했다면 ‘2012 부산비엔날레’는 그 기대를 첫술부터 배반한다. 관람객을 맞는 건 시커먼 가림막이 드리워진 전시관이니 말이다. 22일 개막된 부산비엔날레는 주(主)전시관인 부산시립미술관부터 공사장처럼 비계와 가림막으로 둘러싸여졌다. ‘아, 뭐지? 잘못 찾았군’하고 발길을 돌리지 마시라. 가림막에 싸인 공간 자체가 올 부산비엔날레가 추구하는 ‘관습의 파괴’란 콘셉트를 집약한 거니까.

▶예술로 ‘새로운 문턱’ 만들기=‘배움의 정원(Garden of Learning)’이란 주제로 닻을 올린 올 부산비엔날레는 시작부터 끝까지 부산시민과의 협업을 통해 이뤄졌다. 배움위원회라는 오픈포럼 형태의 기구가 만들어져, 수십회의 토론과 공동작업을 통해 비엔날레가 완성된 것.

시민ㆍ참여작가ㆍ감독 등 80명으로 이뤄진 배움위원회는 한국사회 및 정치구조, 부산의 다양한 층위, 예술의 방법론을 느리지만 긴밀하게 논의하며 자기주도적 교육을 펼쳐갔다. 배움위원이었던 부산 동천고 3학년 박세희 군은 “처음엔 뭘 해야 할지 몰랐고, 짬뽕이 될까 봐 걱정됐다. 미술은 높은 사람, 지식인만 하는 거라 생각했는데 그게 깨졌고 그 의미를 재인식하게 됐다”고 했다.

독일 출신의 로저 M. 뷔르겔 전시감독은 “유럽서 온 예술감독으로서 나 역시 한국에 대한 무지에서 출발했다. 배움이란 무지를 인식하는 것에서 출발하고, 배운 것을 비우는 과정도 포함한다. 비워야 새로운 걸 넣을 수 있다”며 “기존의 관습과 도식적인 방법론에서 벗어나 새로운 문턱을 만들고자 했다”고 했다. 따라서 올 비엔날레는 예술은 원 웨이(one way)가 아니라 투웨이(two way)이며, 협업을 통해 흥미로운 정서적 관계가 창출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22개국에서 107명의 작가가 380점을 출품한 2012부산비엔날레는 고정관념을 버리고 ‘무’의 상태에서 예술체험을 할 것을 권하고 있다. 사진은 전직 대통령의 빌라 재건축과정에서 쓰레기로 버려진 일본산 비데, 의자 등으로 제단을 쌓은 함경아의 ‘오데사의 계단’. 오데사는 영화 ‘전함 포테킨’에서 학살이 이뤄졌던 곳이다. 
                                                                                                                               이영란 선임기자/yrlee@heraldcorp.com

▶도발적, 전복적인 비엔날레=올해 부산비엔날레는 대단히 가변적이고 유기적이다. 작품들은 매끄러운 화이트 큐브에 내걸린 게 아니라, 바퀴가 달린 금속지지대(비계) 또는 잿빛 가림막 위에 내걸렸다. 액자에 끼워졌던 작품도 이번 비엔날레에선 맨몸을 드러낸 채 전시되고 있다. 매끈한 대리석 바닥엔 검은 고무매트가 깔려져 ‘전복과 도발’이라는 콘셉트를 잇고 있다.

예술의 마법, 미스터리, 수수께끼를 추구하는 이번 비엔날레는 보다 광범위하고 포용적이며 민주적인 과정을 품고 있다. 부산비엔날레이지만 광주민주항쟁 등 한국의 아픈 근ㆍ현대사를 집중적으로 다루고 있는가 하면, 우리는 어디에서 왔으며 어디를 바라봐야 하는지 묻고 있다. 그 좋은 예가 한진중공업 해고노동자의 낡은 신발들과 그들이 만든 종이꽃을 연꽃처럼 늘어놓은 성효숙(현장활동 미술가)의 작품 ‘새벽3시’이다. 1980~90년대 주목받았으나 이젠 관심권 밖으로 밀려난 민중미술 진영의 노원희의 회화에 주목한 것도 이색적이다.

전직 대통령이 살았던 빌라의 리모델링 소식을 듣고 조용히 현장에 찾아가 버려진 카펫, 일본산 비데, 파이프, 타일, 골프화 등을 수집해 이를 제단처럼
쌓은 함경아의 작업 ‘오데사의 계단’ 또한 매우 전복적인 작품이다. 

검은 가림막으로 둘러싸인 부산비엔날레 본전시관.

부산의 가장 오래된 아파트인 좌천동아파트에 전세를 들고 작업한 미국 작가 메리 앨렌 캐롤의 ‘No.18’은 시민들과의 협업이 없었으면 불가능했을 작업이다. 캐롤은 배움위원들과 토론하는 과정에서 공원이 부족한 한국에서 건물 곳곳에 녹색 매트를 즐겨 까는 것에 주목했다. 그리곤 좌천동아파트 주변 건물 옥상에 매트를 까는 프로젝트를 펼쳤다.

올 비엔날레의 본전시는 예년보다 상대적으로 적은 41명의 참여작가가 참여했다. 그러나 위르겐 스톨한스라는 작가는 부산 일대 곳곳을 다니며 발견한 낯선 풍경과 모티프를 그린 회화 40여점을 미술관의 곳곳에 걸었고, 노원희 작가 역시 20여점의 회화를 출품해 전혀 예기치 않은 코너에서도 작품을 만날 수 있다.

부산=yrle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