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QE3효과 유동성 탄력…경기민감주로 갈아타라
일부선 “경기회복 지켜봐야”
코스피가 장중 2000선을 돌파했다. 지난 5월 2일 이후 4개월 반 만이다. 하지만 유동성의 힘은 일시적인 것으로, 경기 회복이나 유럽 재정위기 완화라는 보다 가시적인 결과물을 보려는 투자자들의 심리는 여전하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3차 양적 완화(QE3)’를 실시키로 하자 뉴욕증시에 이어 14일 오전 국내 증시도 급등했다. 지난 1, 2차 양적 완화 때와 마찬가지로 강한 유동성 랠리가 도래할 것으로 예상되며, 위험자산에 대한 선호도가 보다 높아질 전망이다. 3차 양적 완화뿐만 아니라 전날 ‘아이폰 5’ 출시 발표로 애플 주가가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는 등 주식시장에 긍정적인 분위기가 형성되고 있다. 애플 주가는 13일(현지시간) 장중 685.50달러까지 치솟으면서 사상 최고치를 갈아치웠다.

전문가들은 유동성 장세가 예상됨에 따라 방어주에서 경기민감주로 포트폴리오를 재편하는 등 적극적인 대응을 주문했다. 현대증권에 따르면 국내 증시에 지난 1차 양적 완화 기간(2009년 1월~2010년 4월)에는 미국계 자금이 14조원 유입됐고, 2010년 2차 양적 완화 기간(2010년 10월~2011년 6월)에는 10조8000억원이 유입됐다.

조성준 농협증권 연구원은 “연말까지 강한 유동성 장세가 예상된다”며 “시가총액 상위 업종 중 변동성이 높은 고(高)베타 업종인 조선, 정유, 화학, 증권, 건설, IT 하드웨어 등의 매수 전략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한편에서는 양적 완화 이후 고유가 등으로 인한 인플레이션 압력과 소비 위축 등을 예의 주시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왔다. 유익선 우리투자증권 연구원은 “추세적 전환을 위해서는 유럽 재정위기 해결을 위한 로드맵 마련과 글로벌 경기 회복 징후가 나타나야 한다”며 “이에 대해 확신하기 어려운 이상, 과거 1차 양적 완화 당시에 비해 효과는 다소 제한될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박상현 하이투자증권 연구원도 “주식시장의 정책 선반영 수준을 감안할 때 향후 경기지표 개선 흐름이 가시화될지가 추가 상승 폭을 결정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신수정 기자/ssj@heralda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