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IT · 디자인 융합…英 명문大에 스마트 도서관
삼성SDS
삼성SDS가 가장 두각을 나타내고 있는 분야는 스마트 컨버전스 사업인 ‘디지털 스페이스 컨버전스(DSC)’다.

DSC 사업은 물리적 공간에 디지털기기, 유무선 네트워크, 소프트웨어 등 다양한 첨단 IT와 디자인을 적용한 ‘융복합형 IT 비즈니스 모델’로 주로 도서관ㆍ전시관ㆍ박물관ㆍ복합쇼핑몰 등에 적용된다. 2015년에는 DSC 세계 시장 규모가 30조원에 달할 것으로 추산되고 있어 ICT 업계에서 차세대 블루칩으로 떠오르고 있다.

이 가운데 삼성SDS는 최근 세계 최대 석유생산회사인 사우디아라비아의 아람코가 다란에 건설 중인 세계문화센터 DSC 사업을 수주한 데 이어 영국의 주요 명문 대학 중 하나인 버밍엄대의 신축 도서관 사업도 수주하는 성과를 거뒀다. 

사우디 아람코 세계문화센터 도서관 [사진제공=삼성SDS]

사우디 아람코의 세계문화센터 건립 사업은 건축ㆍITㆍ전시 등 3개 부문으로 추진되는데, 이 중에서 IT 부문을 삼성SDS가 맡은 것이다.

장화진 삼성SDS 글로벌사업본부장은 “국내에서 축적한 DSC 사업 경험을 바탕으로 해외 시장을 적극 공략한 결과”라며 “국내 기업이 글로벌 DSC 사업 시장에 진출한 최초의 대규모 사업이라는 점에서 이번 수주는 큰 의미가 있다”고 강조했다. 또 세계문화센터 DSC 사업은 국가 및 기업의 정보시스템 구축 시 대부분 현지에서 설계 및 개발을 하는 것과 달리 국내에서 스마트도서관ㆍ원격교육 등 시스템 개발과 공연장ㆍ영화관 등 IT 전시관 설계를 진행하고, 현지에선 시공만 하도록 함으로써 공기를 단축하고 사업 리스크를 줄이는 선진형 IT 사업 모델을 처음으로 적용한 사례이기도 하다.

이와 함께 그간 국립중앙박물관과 연세대ㆍ성균관대ㆍ명지대 등 국내 유수 대학의 학술정보관 사업을 수행한 삼성SDS 이력도 버밍엄대 신축 도서관 사업 수주에 큰 역할을 했다.

나아가 삼성SDS는 미국 MITㆍ스탠퍼드ㆍ인디애나주립대(블루밍턴) 등 주요 명문대가 DSC 사업 노하우를 배우기 위해 접촉 중이다.

이 밖에도 삼성SDS는 베트남ㆍ몽골 및 코스타리카 전자조달시스템 구축 사업을 성공적으로 수행했다. 현재 튀니지 전자조달시스템 시범사업을 진행 중이다. 여기에 2008년 인도 델리, 2009년 인도 방갈로, 2010년 중국 청두, 2011년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프 등 굵직한 자동요금징수시스템(AFC) 사업을 수주하며 해외 시장을 적극 공략하고 있다. 

<정태일 기자>
/killpas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