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서울형 사회적기업 富쏠림 심해졌다
3대 기업이 총매출 60% 차지
사회서비스 제공형은 정부지원 없이 존립 불능



취약계층에게 일자리와 사회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서울시가 2010년부터 사회적 기업을 육성하고 있지만 이들 사이에서도 양극화 현상이 뚜렷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는 2010년부터 2011년까지 총 6차례에 걸쳐 411개의 서울형 사회적 기업을 지정했으며, 현재 이 중 230곳(60%)에 대해 지원하고 있다. 사회적 기업 유형에는 ‘일자리 제공형’과 ‘사회서비스 제공형’, 두 가지 유형이 혼재된 ‘혼합형’이 있다.

12일 서울연구원의 ‘서울형 사회적 기업 실태조사 및 성과평가’ 리포트에 따르면 서울형 사회적 기업 1013곳의 총매출액 중 59.8%를 상위 3개 기업이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이들 서울형 사회적 기업의 총매출액은 893억1494만1000원이고 매출원가는 351억3100만2000원, 당기순이익은 -6429만9000원이었다. 이 중 상위 3대 기업의 매출액은 전체의 59.8%인 533억1732만2000원이었고, 10대 기업의 비중도 647억2086만6000원으로 72.6%를 차지했다.

보고서를 낸 조달호 서울연구원 연구위원은 “상위 9개 기업은 당기순이익이 1억원 이상이지만 기업 전체로 평균 6429만9000원의 순손실을 기록한 점을 고려하면 나머지 기업은 이익을 내지 못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사회서비스 제공형 사회적 기업이 일자리 제공형, 혼합형보다 경제 성과가 취약했다.

대부분 기업이 정부지원금과 같은 영업 외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는 점도 문제점으로 지적됐다.

연구원 관계자는 “특히 사회서비스 제공형 기업의 경우 정부지원금 등 영업외이익이 영업이익의 배에 이르는 것으로 분석됐다”며 “특히 사회서비스 제공형의 경우 정부 지원금 없이는 자생이 힘들 정도”라고 말했다.

취약계층의 고용이 업종별로 편중된 현상도 나타났다. 서울형 사회적 기업의 유급 근로자 전체 1649명 중 53.49%인 882명이 취약계층으로 조사됐지만 물류택배, PCㆍ소모품, 보건, 음식료 제조 등 분야에 한정된 경우가 많았다.

취약계층 고용률이 물류택배업의 경우 91.3%, PCㆍ소모품은 80%, 보건은 73.3%로 비교적 높았지만 문화예술은 20%, 보육은 27.3%, 교육은 35.3%에 그쳤다.

취약계층보다 더 많은 일반인이 사회적 기업이 제공하는 사회서비스를 받고 있다는 점도 문제로 평가됐다. 조사 결과 서울형 사회적 기업이 제공하는 사회서비스의 혜택을 보는 일반인은 72만4000명으로 취약계층(30만6000명)의 배 수준을 웃돌았다.

조달호 연구위원은 “서울형 사회적 기업으로 지정되면 시가 1년차에 인건비의 90%를, 2년차에 60%를 일률적으로 지원해왔지만 성과평가에 따라 맞춤형 지원을 해야 한다”면서 “일자리 제공형보다 사회서비스 제공형에 더 많은 정책적 배려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황혜진 기자>
/hhj6386@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