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K-water?LS산전, 에너지 절감형 물공급 시스템 개발 ‘맞손’
[헤럴드경제=홍승완 기자] K-water(한국수자원공사)와 LS산전이 취수장 및 펌프장의 에너지를 최소화 할 수 있는 기술을 공동개발한다.

양사는 6일 한경전 K-water 수도사업본부장과 권봉현 LS산전 자동화사업부문장 등 양사 관계자 1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광역상수도 최적운영기술 공동 기술개발 협약’을 체결했다.

양사가 공동 개발하기로한 기술은 강 인근의 취수장으로부터 물을 필요로 하는 지역까지 공급하는 데 필요한 펌프장 운영에 있어 짧게는 24시간, 길게는 주 단위, 월 단위로 물 사용량을 예측하여 전기요금이 싼 시간대에 물을 최대한 채워놓고 요금이 비싼 시간에 수요에 맞게 탄력적으로 공급하는 시스템이다.

수요 예측은 평일과 주말, 날씨별, 지역별, 명절 등 들일별 등으로 세분화하여 이뤄진다. 각 상황에 맞게 산출된 용수수요량을 기반으로 수리 모델링, 최적화 알고리즘, 최적화 시뮬레이터 등의 기술을 통해 필요한 용수 공급량, 관압, 정수지 및 배수지 포함, 펌프 운전대수 스케줄이 구성된다.

또 이를 기반으로 에너지 사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펌프 조합을 찾아 경제적인 용수공급이 가능한 시스템을 상용화 개발할 예정이다.

양사는 이 기술은 2013년 K-water 보령권관리단에 실제 적용, 운영을 통해 신뢰성이 검증된 시스템을 확보할 계획이다.

보령사업장의 경우 이 기술이 적용되면 연간 700MWh의 전력사용량을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를 전국 광역상수도로 확대하면 총 7만 MWh로, 매년 전기요금 50억원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이 같은 에너지 절감을 통해 이산화탄소 발생량을 연간 약 3만3000 톤 줄여 소나무 1000만 그루를 심는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손창희 LS산전 팀장은 “K-water는 이미 LS산전의 컨트롤러(Controller)를 도입, 펌프 제어 자동화를 추진해왔다”며 “이번 공동 기술개발로 최적화 시스템을 각 컨트롤러와 연계시켜 취수장, 배수지, 정수장 내에 설치된 모든 펌프를 계획된 스케줄에 의해 제어할 수 있는 수운영 센터를 구축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swa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