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보쉬와 헤어진 삼성SDI, 주가 향방은?…호재>악재
[헤럴드경제=안상미 기자]삼성SDI가 전기차 2차전지 사업에서 보쉬와의 결별을 선언했다. 그간의 불확실성을 해소한다는 측면에서는 호재지만 자회사 손실로 실적이 다소 악화될 수 있다는 점은 악재다.

6일 증시는 호재에 더 크게 반응했다. 삼성SDI는 상승세로 출발하면서 단숨에 장중 15만원선을 회복했다.

삼성SDI는 전일 전기차용 2차전지 자회사인 SB리모티브(SBL)의 지분을 전량 인수키로 했다고 공시했다. SBL은 지난 2008년 7월 삼성SDI와 보쉬의 합작으로 설립된 바 있다. 


황준호 KDB대우증권 연구원은 “SBL에서 삼성SDI의 역할은 2차전지 셀 제조, 보쉬는 팩 생산을 맡아왔는데 자동차 업체들의 팩 내재화로 보쉬의 역할이 축소된 것으로 판단된다”고 설명했다.

삼성SDI는 보쉬가 보유 중인 지분 3800만주(50%)를 9500만달러(1076억원, 주당 2827원)에 매입하고, 보쉬는 팩 설비를 보유한 자회사 SBL 독일법인과 코바시스를 3800만달러(430억원)에 인수할 예정이다. 따라서 삼성SDI의 현금 유출액은 차액인 646억원 안팎이다.

단기적으로 투자자금 부담과 영업손실 증가는 불가피하지만 장기적으로는 올바른 선택이었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권성률 동부증권 연구원은 “시장은 삼성SDI와 보쉬의 결별 가능성에 대해 이미 충분히 인지한 상태”라며 “불확실성을 제거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예상보다 낮은 지분 인수 가격 등도 주가에 힘을 보탰다. 당초 시장에서는 삼성SDI가 지불해야 할 자금 규모가 1000억원에 이를 것으로 봤지만 지불금액은 이보다 낮은 650억원이다.

SBL로부터 발생할 손실도 점차 줄어들 전망이다. 권 연구원은 “지분법평가손실로 100% 영업손익으로 반영된다 해도 팩부문 손실 등을 제외하면 당기순이익이 기존 추정치 대비 5% 정도 하락하는데 그칠 것”이라고 밝혔다.

hug@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