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창업이 희망이다> 아이디어 창업 돕고 공익 기부도…신생기업 투자비 모금지원 시스템
소셜펀딩 서비스
개인이나 신생기업이 신제품을 개발했는데 자금이 부족하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 담보물이 부족해 은행에서 대출받기도 어렵고, 벤처캐피털은 외면하는 것이 지금의 현실이다.

이런 경우 적합한 투자기법으로 ‘소셜펀딩(Social FundingㆍCrowd Funding)’이 주목받고 있다. 미국ㆍ영국 등지에서는 4년 전부터 등장해서 자리를 잡아가고 있고, 국내는 이제 막 출발한 단계다.

소셜펀딩을 통해 성공한 해외 프로젝트 중 대표적 사례는 페이스북의 대항마로 주목받고 있는 오픈 소스 기반의 SNS ‘디아스포라’를 꼽을 수 있다. 네 명의 대학생이 시작한 디아스포라는 페이스북의 개인정보보호정책을 사회적 이슈로 부각시키며 킥스타터닷컴을 통해 총 20만642달러(약 2억3000만원)의 개발비용을 모금했다.

국내에서는 소셜펀딩 서비스를 처음 시도한 ‘디스이즈트루스토리(www.thisistruestory.com)’가 대표적인데, 이 사이트 외에도 텀블벅ㆍ소셜펀듀ㆍ한국문화예술위원회의 크라우드펀딩(www.fund.arko.or.kr) 등의 업체가 개인 후원자와 참신한 아이디어 프로젝트를 찾아 나서고 있다.

하지만 아직 국내에서는 후원이나 기부에 대한 인식이 부족한 상황이다. 그나마 예술 분야는 기업이 참여하고 있으나, 신제품 개발이나 기부에 관해서는 활성화하지 못하고 있다. 한국문화예술위원회가 지난해 후원기부금을 집계한 결과 1666개처에서 총 134억3500만원이 조성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렇듯 국내 소셜펀딩의 갈 길은 아직 멀다. 이제 막 시작한 국내 소셜펀딩 서비스의 미래는 밝다. 이미 3~4개 업체가 이 분야에 진출해 개인 후원과 투자에 대한 문화를 조성하고 있다. 성공 스토리가 많아지면 질수록 더 많은 후원문화가 생길 것이고, 이에 따라 소셜펀딩 사업도 지속적으로 성장할 수 있을 것이란 예상이다.

이 아이템의 창업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구체적으로 계획하고 실천해 나가야 한다. 가장 먼저 ‘아이디어 창업을 돕는 소셜펀딩 서비스’ 사업이 실제로 실현될 수 있도록 소셜네트워크와 잘 연동되는 홈페이지를 구축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 다음 개인 후원자와 양질의 프로젝트 진행자를 모집하기 위해 대대적인 홍보를 진행해야 하고 더 많은 성공 프로젝트 개발을 위해 비즈니스 아이디어 관련 업체와 전략적인 제휴를 맺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지속적인 홍보를 위해 소셜네트워크 관련 업체와 제휴해야 한다. 

<대전=이권형 기자>
/kwonh@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