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서울 27년후 생산인구 2명이 노인 1명 먹어살려야
2039년엔 노인인구가 유소년 인구의 3배… 현재보다 부담 약 4배 ↑
노인부양은 사회책임 인식↑, 셀프노후준비 노인↑



[헤럴드경제=황혜진 기자]27년 뒤에는 서울시민 2명이 일해 어르신 1명을 부양해야 하는 것으로 예측됐다. 현재보다 노인인구는 급증하는데 비해 일할수 있는 생산가능인구는 현재의 4분의 3수준으로 감소하기 때문이다.

서울시는 통계청의 2012년 장래 인구 추계와 2011년 서울 서베이 자료를 분석한 결과 노인 1명을 부양하는 15~64세의 생산인구가 현재 7.4명에서 2039년 2명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전망됐다고 5일 밝혔다.

▶2039년엔 2명이 벌어 노인 1명 먹어살려야=통계에 따르면 서울의 65세 이상 노인 인구는 올해 6월말 기준 108만3000명에서 2039년 294만6000명으로 172%(186만3000명)나 증가하는 것으로 예상됐다. 반면 15세 이상 생산가능인구는 26%(205만8000명)줄어들 것으로 예상됐다. 15~64세 생산인구 1명당 2명의 노인을 부양해야 하는 것으로 현재(7.4명)보다 부담이 4배 가량 무거워지는 셈이다. 

부담은 이후에도 커질 가능성이 높다. 미래 생산가능인구인 유소년(0~14세) 인구가 2039년엔 현재보다 25%(33만 8000명)줄어들 것으로 예측되기 때문이다. 2039년 인구구조를 보면 0~14세, 15~64세, 65세 이상 인구비율이 10.3%, 60.1%, 29.6%로 노인인구가 유소년 인구의 3배에 달할 것으로 관측됐다.

▶시민들, “노인부양 위해 세금 더 낼 수 있어요”=고령화가 사회문제로 부각되면서 노인부양에 대한 시민들의 인식도 달라지고 있다. 노인부양을 가족의 문제를 넘어 사회적 문제로 인식하는 시민이 늘어나고 있는 것.

통계에 따르면,“부모님의 노후생계에 대해 가족이 전담해야 한다”고 답한 비율은 2006년 60.7%에서 2010년 절반수준인 30.4%로 급감했다. 반면, “가족과 정부ㆍ사회의 공동책임이다”라는 견해는 같은 기간 29.1%에서 51.0%로 늘었다. 노인들에 대한 사회복지 확대를 위해 세금을 더 부담할 의향을 묻는 질문에도 31.7%(2011)이 긍정적인 답변을 내놨다. 26.1%였던 2007년 이후 꾸준히 증가세다. 반면, 의향이 없다는 의견은 2007~2011년 34.1%에서 27.2%감소했다. 

▶노인들, “노후생활 스스로 준비할게요”=노인들의 인식도 변하고 있다. 무조건 받기보다 스스로 노후를 준비하겠다는 노인들이 늘어나고 있는 것.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노후준비 유무에 대해 조사한 결과 노후를 준비하고 있다는 응답은 2007년 35.1%에서 2011년 47.1%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노후준비방법(중복응답)으로는 보험(47.2%), 은행저축(45.0%), 공적연금(36.0%),개인연금(17.3%), 현재 주택규모 축소 수익활용(16.2%) 자녀의존(13.7%), 부동산투자(12.2%) 순으로 나타났다.

셀프노후준비 노인들 상당수는 향후 손자녀를 양육할 뜻이 없음을 나타났다. 조사결과 60세 이상 서울노인들은 가장 원하지 않는 노후생활로 ‘손자녀 양육’(25.1%)을 꼽았다. 가장 원하는 노후생활은 ‘취미교양활동’(39.8%)이었고 계속 경제활동을 하고 싶다는 비율도 36.7%에 달했다.

hhj6386@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