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화가 이두식"이발소그림 그리던 7년…내 생애 가장 치열했던"
1973년 가을. 모교(홍익대)의 조교생활을 막 끝냈을 즈음 아버지께서 갑작스럽게 돌아가셨다. 그리고 어머니께서 연달아 세상을 뜨셨다.

부모님의 잇단 부음에 5남매 중 막내였던 나는 슬픔이 커서 겉잡을 수 없었다. 이웃들은 ‘금슬 좋은 부모님이셨기에 같이 떠나셨고, 필시 좋은 곳으로 가셨을 것’이라고 위로했지만 그 슬픔은 40년이 지난 지금도 내 가슴을 아리게 할 정도로 깊었다.

더우기 큰 고생 없이 유복하게 사시다가, 갑작스럽게 경제적 문제에 봉착하시면서 부모님은 말년에 갖은 고생을 하셨다. 그렇게 돌아가셨기에 내 가슴은 더욱 아팠고, 나 역시 경제적으로 큰 어려움에 처하게 됐다.

당시 나는 결혼한지 1년이 막 지난 신혼이었다. 화가로서도 이제 겨우 걸음마를 하던 시기였다. 부모님 장례를 치르느라 우리 부부는 갓난 아기를 월세로 살던 서민아파트의 앞집에 잠시 맡겼었다. 장례를 마치고 아들을 넘겨받았는데 열이 펄펄 끓는 것이었다. 극심한 고열 때문에 숨도 잘 쉬지 못했다. 하늘이 노랬다. 수소문 끝에 명의로 소문난 소아과병원으로 달려갔다. 급성폐렴같다며 곧바로 입원하라는 지시를 받았으나 입원을 하지 못했다. 입원 보증금을 내지 않으면 입원이 불가능하다는 것이었다.
 

너무나 기가 막혀 발만 동동 구르는 아내를 병원에 남겨둔 채, 나는 보증금 3만원을 구하러 병원문을 나섰다. 누구를 만나야 돈을 구할 수 있을까 골몰하느라 얼이 빠진채 거리를 뛰어다녔다. 그렇게 막 광화문 골목길에 접어드는데 ‘두식아!’ 하는 소리가 들렸다. 돌아보니 고교 7년 선배였다. 너무 반가왔다. 마침 선배는 ’일주일 전부터 널 찾아다녔다. 일이 급하니 바로 도와달라’고 청했다. 평소 선배가 수출그림(상업화)사업을 하는 것을 알고 있던 터라 두말않고 수락했다.물론 그 자리에서 입원 보증금을 받아 아들을 입원시킬 수 있었다. 20대 후반의 가난한 화가 부부는 그 날 지옥과 천당을 오갔다.

경북 영주 출신인 나는 꽤 여유있는 가정에서 자랐다. 어머니 마흔한 살에 늦동이로 날 낳아 기르셨으니 무척 귀하게 자란 셈이다. 그림 잘 그린다고 당시 하나밖에 없는 예고 미술과에 진학시켜주셨고, 대학진학 후에는 가세가 기울었지만 무사히 마칠 수 있었다. 군생활은 장교로, 곧이어 조교로, 고교 때부터 좋아하던 여학생을 아내로 얻으며, 힘들었지만 무지개빛 꿈을 꾸는 화가 지망청년이었다. 그러나 현실은 힘들었다.

다행히 선배와의 약속대로 일을 시작하니 최저 생활비는 벌 수 있었다, 아들도 병이 호전돼 퇴원했다. 상업화(모두들 이발소그림이라 부른다)의 예술적 가치는 논할 처지도 아니었고, 그저 열심히 소비자가 원하는대로 그리고, 또 그렸다. 밤새우는 작업도 마다하지 않았다. 나를 위기에서 구해준 일감이었기에. 


그러다가 ’이 작업도 언젠간 나에겐 약이 되는 조형훈련’이라고 긍정적으로 생각하게 됐다. 생존을 위한 직업으로 수출화를 그리는 일을 나는 7년간 했다. 어려서부터 미술학교에서 수업받아온 나였지만 회화 제작에 있어서 마치 군인이 전투훈련, 유격훈련을 받는 것같은 과정이었다. 똑같은 그림을 대여섯장 그리기, 붓터치 없이 페인팅 나이프로만 그리기, 흑백으로만 그리기, 인상파기법, 극사실기법 소화하기 등등. 거의 만능이 되다시피 했다.

이제 화가로서 제법 자리를 잡은 나는 지금도 이따금 나태해질 때면 그 치열했던 시절의 내 모습을 조용히 반추해보곤 한다. 간혹 말이 통하는 후배에게는 청춘의 시절을 꺼내어 보여주기도 하면서.

글=이두식(화가,부산비엔날레 운영위원장), 
사진= 이영란 기자/yrle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