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美서 잘나가는 한국 차, ‘이제 에누리 없네’
[헤럴드경제=이슬기 인턴기자]에누리도, 협상도 없었다. ‘제값을 받고 판다’ 는 원칙을 고수했다. 최근 미국시장에서 현대자동차가 보여준 전략이다. 그동안 우리 자동차 브랜드들은 해외시장 점유율 확대를 위한 ‘저가공세’ 에 나서며 ‘장점은 가격뿐인 차’ 라는 오명을 들어왔다. 그 흐름에 변화를 주기 시작한 것이 바로 현대차의 프리미엄 전략. 현대자동차의 ‘높아진 콧대’ 에 이젠 미국 자동차 구매자들도 속수무책이었다.

지난 21일 미국 자동차 전문 조사업체 트루카닷컴은 각 차종별로 ‘에누리나 가격협상이 가장 어려운 모델’ 들을 뽑아 공개했다. 각 자동차 모델의 가격변화 양상과 재고량, 판매량을 분석한 결과다. ‘거래가격 탄력성(Price Flex Score)’ 이라 불리는 이 지수는 점수가 높을수록 가격할인이나 협상 가능성 역시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현대차는 소형차(엘란트라 투어링), 중형 SUV(베라크루즈), 중형차(아제라) 등 세 부문에서 ‘에누리가 없는 차 1위’ 로 이름을 올렸다. 이 중 엘란트라 투어링(i30)은 3점을 기록해 렉서스나 토요타, 폭스바겐 등 외국 브랜드를 제치고 전체 차종 중 ‘콧대 높은 차 3위’ 자리를 차지했다. 베라크루즈와 아제라(그랜저TG)는 각각 6점과 11점을 얻어 전체 8위와 10위에 랭크됐다. 현대차의 주력시장 모두에서 ‘흥정불가’ 진단이 내려진 것.

현대차에 대한 이러한 평가는 최근 이어지고 있는 ‘제 값 받기(Value Pricing) 운동’ 과 관련이 깊다. 지난 20일 미국 일간 USA투데이의 보도에 따르면 현대차는 새로운 모델이 나올 때마다 조금씩 가격을 인상해 왔다. SUV 차량인 2013년형 투싼은 이전보다 약 100달러가 오른 2만70달러에 팔리고 있고, 신형 아제라의 가격 역시 이전 모델에 비해 약 25% 올랐다. 저가 중심의 이미지를 벗고 고가 브랜드로 새롭게 방향을 구축하는 과정인 셈이다. 이러한 분위기 하에서 미국 소비자들은 엘란트라를 구입하는데 도요타의 코롤라를 구입하는 것보다 약 1500달러, 혼다의 시빅을 구입하는 것 보다 약 300달러 가량을 더 쓰기도 했다.

반면, 일본 자동차 브랜드인 마쯔다와 미쯔비시는 각각 100점과 97점을 획득해 소형과 중형 모두에서 ‘가격 흥정과 할인이 가장 쉬운 차’ 로 꼽혔다. 이는 일본 브랜드가 한국 차보다 일찍 미국 시장에 진출해 이미 높은 가격대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되고 있다.

yesyep@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