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모바일 주식거래 ‘위험종목’ 치중
[헤럴드경제=오연주 기자]최근 급증한 모바일 주식거래가 투자주의가 요구되는 ‘위험종목’ 매매에 주로 활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반기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시장에서 각각 50종목씩 모바일트레이딩시스템(MTS) 거래 비중이 높은 총 100종목 중 47곳이 상장폐지, 매매거래정지, 투자주의, 투자경고, 관리종목 등 ‘고위험군’에 속했다.

유가증권시장에서는 상위 50위 종목 중 29개 종목이 이에 포함됐다.

동양건설은 모바일 거래대금 비중이 24.49%로 가장 높았다. 이 회사는 지난 4월 주가급등으로 투자경고종목으로 지정됐다. 지난달 증시에서 퇴출된 대우송도개발 우선주는 모바일 거래비중이 24.25%로 집계됐다.

투자주의 종목으로 지정된 성문전자우(23.69%), 상장폐지 실질심사를 받은 대한은박지(22.24%), 투자경고종목 지정 후 매매거래가 정지된 아남전자우(21.99%), 안철수 테마주로 분류되며 급등해 투자경고 종목으로 지정된 써니전자(20.99%), 상장폐지가 결정된 한국저축은행(20.66%), 투자주의 종목으로 지정된 IB스포츠(20.57%) 등이 상위권에 포함됐다.

정치테마주로는 써니전자 외에 문재인 테마주로 꼽히는 우리들제약ㆍ우리들생명과학, 박원순 테마주인 휘닉스컴, 나경원 테마주으로 분류되는 한창 등이 눈에 띈다.

코스닥시장에서 모바일 거래비중이 높은 50곳 중에는 상장폐지 종목이 8개나 포함됐다. JH코어스(24.36%), 보광티에스(21.89%), 한림창투(21.17%), CT&T(19.28%), 미리넷(19.07%), 클루넷(19.04%), 아인스M&M(18.70%), 아이스테이션(18.63%) 등이다.

이른바 ‘껌값’ 종목으로 불리는 1000원 미만 종목도 AD모터스(22.38%), 엠피(20.25%), 엔스퍼트(20.19%) 등 9곳에 이른다. 가격이 워낙 싸 세력들의 시세조종에 쉽게 노출될 수 있는 종목들이다

한편 모바일 거래 비중은 거래대금 기준으로 지난달 유가증권시장이 6.90%, 코스닥시장이 13.84%를 기록했다. 지난해 6월 4.43%, 8.84%에 비해 큰 폭으로 늘었다.

oh@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