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전라인민공화국…’ ‘역시나 갱상도~’ … 온라인서 들불처럼 번지는 지역감정
기준없어 삭제·처벌 불가능
‘지역감정’이 사라지는 것은 요원한 것인가?

구(舊)시대 산물인 지역감정이 사라지지 않고 있다. 특히 대선을 앞둔 상황이라 온라인상에서 지역감정 조장이 빠르게 번지고 있다. 한때 정치관련 기사에 지역감정 유발 댓글이 붙었다면 최근에는 어떤 특정지역에서 발생한 사건ㆍ사고 기사에도 지역감정 댓글이 넘쳐나는 상황이다.

지난 18일 한 포털사이트에 전라도 광주 한 대학에서 여학생이 투신 자살했다는 내용의 기사에 댓글 200여개가 붙었다. 이 중 기사와 관련된 댓글은 10여개에 불과했다. 이 외는 지역감정을 드러내는 댓글이 줄줄이 엮여 있었다. ‘역시 라도(전라도)’ ‘전라인민공화국’ 등이었다. 이런 글은 100여개에 달했다. 또 다른 포털사이트에 ‘아버지를 때린 딸’이라는 경북 대구발(發) 기사에 60여개 댓글이 붙었다. 이 기사에도 ‘역시 대구’, ‘갱상도 만세’ 등 기사와 관계 없는 10여개의 지역감정 유발 댓글이 있었다.

문제는 이런 지역감정 유발 댓글을 규제할 수 있는 장치가 없다는 것.

방송통신심의위원회 심의 규정 제 8조3항에는 사회통합 저해 항목에 합리적인 이유 없이 지역, 성별 등을 차별할 경우 이를 삭제한다고 돼 있다. 그러나 이는 권고사항일 뿐이다.

네이버, 다음, 네이트 등의 포털사이트 역시 지역감정 유발 댓글에 대한 명확한 삭제 기준을 마련해 놓지 않고 있다.

다음의 경우 ‘욕설, 개인정보 유포 등의 경우 신고절차 없이 삭제할 수 있다’는 규정을 만들어 놓았지만 지역감정 유발 댓글에 대한 규정은 없다 네이버도 마찬가지다. 


<박병국 기자>
/cook@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