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최태원 SK회장 代이은 ‘인재사랑’…한-중 가교 역할
한국고등교육재단 통해 최종현 선대회장 유지 이어

2000년부터 중국 및 아시아 학자들 초청 ‘학술지원’

수혜받은 중국 석학 42명, 19일 국제학술회의 참가




[헤럴드경제=신상윤 기자]최태원<사진> SK그룹 회장의 대(代)를 이은 ‘인재 사랑’이 한국과 중국, 양국 관계를 돈독히 하는 ‘가교’ 역할을 하고 있다.

최 회장이 이사장으로 있는 한국고등교육재단(이하 재단) 주최로 19일 서울 남대문로 대한상공회의소 국제회의장에서 열린 ‘한-중 수교 20주년 국제학술회의’에 참석하기 위해 중국 석학 42명이 한국에 온 것이다.

재단은 최 회장의 선친인 고(故) 최종현 SK 선대회장이 인재 양성을 통해 국가와 사회 발전에 기여하기 위해 1974년 사재를 출연해 설립한 비영리 공익 법인이다. 장학생 3000여명을 선발, 미국 하버드대ㆍ예일대 등 해외 명문 대학에서 공부한 박사급 인력 555명을 배출했고 현재 178명의 해외 장학생을 지원하고 있다.

최종현 회장은 “일류국가, 일류국민이 되기 위해서는 인재양성이 필요하다”는 인재보국(人材報國)의 뜻으로 재단을 세웠다. 그는 재단이 지원하는 유학생이 해외로 나가게 되면 꼭 그 전에 자택으로 불러 부인 박계희 여사가 손수 만든 저녁식사를 같이 하며 격려했다. 

재단에서 근무했던 김재열 SK㈜ 부회장은 “최종현 회장은 유학생이 학위를 따고 귀국하면 별도 발표회를 재단 사무실에서 갖도록 한 다음 꼭 참석했다”며 “해외 출장을 가도 그룹 주재원보다 유학생을 더 챙길 정도였다”고 전했다.

이 같은 선친의 ‘인재 사랑’을 최 회장은 보고 배웠다. 최 회장은 선친에 이어 1998년 재단 이사장으로 취임했다. 재단 관계자는 “최 회장도 해외로 가는 유학생들을 직접 면담하고 격려한다”고 전했다.

최 회장은 ‘해외인재 사랑’으로 한발 더 나아갔다. 2000년부터 해마다 중국 대학 교수 40여명을 한국에 초청해 학술연구를 지원하고 있고, 현재는 수혜 대상을 아시아 지역 학자 50명으로 늘렸다. 지금가지 30여개 대학, 교수 250여명이 혜택을 받았다.

이번 회의에 온 중국 교수들도 재단 초청으로 1년간 한국에 머물며 연구활동을 벌인 ‘지한파’ 학자들로, 베이징(北京)대, 런민(人民)대, 푸단(復旦)대 등 중국 유수의 14개 대학에 재직 중이다. 재단의 도움에 보답한 것이다.

최 회장은 이날 회의에 참석, 축사를 통해 ‘음수사원’(飮水思源)이라는 중국 속담을 인용했다. ‘음수사원’은 우물물을 마실 때 그 우물을 판 사람을 기억하라는 뜻이으로, 한-중 수교 전인 1988년 “앞으로 한국과 중국은 상호 공동 운명체로 경쟁이 아닌 화합 관계가 돼야 한다”고 말한 고 최종현 선대 회장의 혜안을 언급한 것이다.

그는 “한국과 중국이 앞으로 다가올 새로운 20년동안 힘을 합쳐 지속적으로 발전, 번영하는 미래 역사를 써나가자”고 제안했다.

ke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