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서울시 재난·안전대책 밑그림 그린다
전문가·시민과 함께 사고 예방·대응법 담은 도시안전 마스터플랜 수립
키로



서울시가 시민과 함께 중장기 도시안전 마스터플랜을 만든다.

서울시는 내년까지 산사태 등 대형 자연재난부터 난간 추락 등 생활안전사고까지 모든 사고의 예방법과 대응 방안을 담은 마스터플랜을 만들기로 했다고 12일 밝혔다.

이 계획은 도시안전에 관한 중장기 종합계획으로 원칙적으로 20년 단위지만 기후 등 여건 변화에 따라 5년마다 타당성을 검토해 재정비하게 된다.

시는 우선 이달 중 시민 1000여명을 대상으로 안전의식에 대해 설문조사를 하고 분야별 공청회를 열기로 했다. 이를 통해 시민이 생활 속에서 느끼는 불안감을 분석, 안전복지정책 우선순위를 결정할 방침이다.

마스터플랜에서 중점적으로 다룰 재난ㆍ안전사고 유형은 ▷자연재해 ▷인적재난▷감염ㆍ전염병 확산 ▷생활안전사고 ▷범죄 등이다.

자연재해는 수해, 사면 재해, 강풍, 폭설, 폭염, 지진 등으로 나누고 인적재난은 화재, 건축물 붕괴, 폭발 등 위험물 사고, 산불 등으로 분류한다. 생활안전사고는 교통사고, 지하철사고, 자전거사고, 추락, 감전, 수난사고, 산악사고로 구분하고 범죄는 살인, 강도, 강간, 폭력, 절도 등 5대 강력범죄로 나눠 예방책과 대응법을 만든다.

시는 시설물부문 중심의 대책과 함께 비시설물부문에 대한 대책을 대폭 강화하고 대책 마련에 시민들의 참여와 역할을 강화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시는 학계와 시민단체 관계자 등 도시안전 전문가 50~100명과의 심층인터뷰를 통해 시청사나 물재생센터 등 기반시설 마비, 대중교통 파업, 방사능 유출 시 대응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외국사례도 적극 반영한다. 시는 미국 지방정부의 ‘위험완화정책’과 일본 도쿄의 ‘종합계획 2020년의 도쿄’ 등의 사례를 분석해 정책동향과 국제표준 등을 적극 반영하기로 했다.

시는 업무 분담과 협력 네트워크를 형성하기 위해 ▷공공부문(서울시, 자치구, 인접 지자체) ▷민간부문(시민, 민간단체, 기업 등) ▷국제부문(국제기구, 해외 대도시)과도 교류를 추진할 방침이다. 특히 시는 마스터플랜의 효과적인 시행을 위해 도시안전실을 마스터플랜의 총괄부서로 지정하고 조만간 조직 및 관리체계를 마련할 계획이다.

서울시 도시안전실 관계자는 “기존에 풍수해 등 일부 재난 때만 세운 중장기 계획을 보완해 재난관리를 총괄하는 마스터플랜을 만들겠다”며 “방식도 안전점검, 시설물관리 등 사후관리 위주에서 사전예방으로 바꿔가겠다”고 말했다.


<황혜진 기자>
/hhj6386@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