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한-EU FTA 1년…韓 유럽 명품의 왕국 되어간다
[헤럴드경제=윤정식 기자]한-EU 자유무역협정(FTA)이 발효된지 1년이 지났다. 유럽으로의 수출은 줄고 수입은 늘었다. 특히 가방, 시계, 화장품 등 명품류의 수입이 급격하게 늘어 FTA 이후 한국이 유럽 명품 업체들의 효자 시장으로 급부상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종합적으로 봤을 때 일단 1라운드는 유럽의 ‘승’(勝)이 확실해졌다. 지금같은 추세라면 올해 연말에는 대 EU 무역수지 적자까지도 걱정해야하는 상황이다.

▶對EU 수출, FTA때문에 망가졌나= 28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한-EU FTA가 발효된 지난해 7월 1일부터 지난 15일까지 한국의 대 EU 무역수지는 18억 달러 흑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전년 동기 흑자액이 140억 달러였던 것을 감안하면 참패 수준이다. 대 EU 수출은 487억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12.1% 줄어든 반면, 수입은 469억 달러로 13.5%나 증가했다.

FTA 관세 인하 혜택 품목만 따로 보면 수출은 20.2% 증가했다. 구체적으로 자동차가 38%, 자동차 부품이 15.8%, 석유제품은 23.9%나 증가했고 폴리에스터, 안경테, 액세서리 등은 수출액이 400% 이상 늘었다. 하지만 FTA 혜택이 없는 쪽에서는 철저히 무너졌다. 선박이 -47.3%, 무선통신기기 -40.7%, 반도체 -44.7% 등 전년 동기 대비 무려 32.6%나 줄었다.

한덕수 무역협회장은 27일(현지시간) 벨기에 브뤼셀서 열린 한-EU FTA 발효 1주년 통상관계자회의에서 “EU 경제가 매우 침체돼 우리 수출이 줄었다”면서 “FTA 적용 품목 수출이 급중해 그나마 흑자 감소폭을 줄였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업계에서는 다른 시각이다. 한 대기업 고위 관계자는 “아무리 유럽 경제상황이 안좋아도 이정도 무역수지는 FTA 협상이 잘못된 것을 말한다”며 “전년도 실적이 워낙 좋았던 선박은 제외하고 봐도 나머지는 설명이 안될 정도로 참담하다”고 말했다.

▶韓 유럽 명품의 신 왕국으로= EU 산 수입품은 FTA로 인한 직접 혜택 품목은 물론 비혜택 품목까지도 고르게 증가했다. 가장 눈길이 가는 품목은 소위 명품으로 불리는 사치품들. 가방이 35%, 화장품은 10.2%, 시계는 무려 51%나 수입이 증가하는 등관세 혜택을 받는 제품은 12.9% 수입이 증가했다.

여기에 FTA 관세혜택과는 상관 없는 컴퓨터(27.8%)나 무선통신기기(14.6%) 등의 수입도 덩달아 증가해 EU 입장에서는 FTA로 인한 후광효과까지 보게됐다.

EU 통계청은 지난해 EU의 대 한국 수출이 전년 대비 16% 증가했고 수입은 8% 감소해 대 한국 무역적자가 37억 유로에 그쳤다고 발표했다. 전년(113억 유로) 대비 3분의 1 이하로 감소했다. 여세를 몰아 지난 1분기에는 지난해 대비 67%나 줄었다. EU로서는 만성 적자였던 한국과의 무역수지가 곧 흑자로 돌아설 것도 기대하는 눈치다.

▶유럽산 제품 가격 더 내려야= FTA로 인해 국내 소비자들이 느끼는 유럽산 제품들의 가격인하 폭 역시 아직 개선돼야할 것으로 보인다. 최근 대한상공회의소가 국내 성인남녀 500명을 대상으로 ‘한-EU FTA 1년, 소비시장 변화와 과제 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자의 90%가 가격인하효과를 체감하기까지는 다소 시일이 걸릴 것으로 본다고 답했다. 체감 시기로는 55.0%자가 ‘2~5년 이내’라고 답했고 27%가 ‘5~7년 이내’를 내다봤다.

실제 공정거래위원회 조사에서도 EU산 제품 9개 품목중 전기다리미(-26.5%), 유모차(-10.3%) 등 6개 품목은 가격이 하락했지만 위스키 등 3개 품목은 가격변동이 없었고 전동칫솔 등은 오히려 가격이 상승하는 경우도 있었다.

yj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