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벽산건설 법정관리 신청…다음은 어디?
[헤럴드경제=백웅기 기자] 지난해 시공능력 26위에 올랐던 벽산건설마저 끝내 법원에 법정관리를 신청했다. 워크아웃 상황에서도 계속되는 자금난을 버티지 못한 결과다. 워크아웃 중인 기업이 법정관리까지 신청한 건 풍림산업, 우림건설에 이어 올들어 세번째 사례로, 주택 경기 침체로 인한 중견사들의 ‘줄도산’ 우려가 건설 업계에 확산되는 모습이다.

벽산건설에 따르면 오는 29일로 만기가 되는 47억원 규모의 현장 어음 등을 막기 위해 우리은행 등 채권단에 1500억원 규모의 추가 자금지원을 요청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자 선제적으로 지난 26일 서울중앙지방법원에 법정관리를 신청했다.

1958년 설립된 이후 주택시장에서 중견 업체로서의 입지를 다져온 벽산건설이지만 최근의 부동산 경기 악화로 수주 부진, 자금 유동성난에 빠져 위기를 겪어왔다. 앞서 2010년 6월 워크아웃에 들어간 뒤로 채권단 측이 두 차례에 걸쳐 2174억원을 지원한 데 이어 올초 김희철 회장이 사재 290여억원을 무상증여 하는 등 재무구조 개선을 위한 노력을 해왔지만 이마저도 역부족이었다.

현재 벽산건설이 채권단에 갚아야 할 액수는 4000억원 가량으로 파악된다. 워크아웃 개시 당시보다는 500억원 가량 줄어든 규모이긴 하지만, 이와 별도로 현재 진행중인 사업장들의 프로젝트파이낸싱(PF) 보증 잔액도 5397억원에 달하는 상황이다. 앞서 지난달엔 채권단이 경영권 매각을 추진하기도 했지만 인수 희망자가 없었다.

이처럼 도급 순위 30위권내의 중견 건설사도 유동성 위기로 법정관리를 신청하는 데까지 이르면서 업계의 불안감은 더욱 커지고 있다.

최근 주택시장의 불황이 심각해지면서 채권은행들이 워크아웃중인 건설업체들의 회생 가능성을 면밀히 따져 추가 자금지원여부를 결정하고 있는 분위기도 부담이다. 때문에 현재 벽산건설 말고도 워크아웃중인 14개 건설사들도 언제라도 유사한 자금난에 빠질 가능성도 큰 것이다.

이와 관련 워크아웃 중인 한 업체 관계자는 “채권단은 잔인하다고 표현할 정도로 냉정하게 손익을 따져 움직인다”며 “최근 업황에 대한 고려사항도 채권단의 입장에서 바라본 것이지 건설사의 입장은 고려하지 않는다”고 토로했다.

kgungi@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