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5ㆍ10 부동산 대책 한달…‘부동산 1번지’ 강남에선 도대체 무슨일이?
[헤럴드경제=정순식ㆍ이자영 기자]“정부 대책이 오히려 불씨를 꺼뜨렸어요. 더위가 예년보다 빨리 찾아왔다고 하는데, 부동산 시장에도 대책 발표 이후 한여름 휴가철 비수기와 같은 상황이 벌써부터 이어지고 있어요”

정부의 ‘5ㆍ10 부동산 대책’이 발표된 지 한 달이 흐른 지난 주말 대한민국 부동산 1번지로 통하는 서울 강남 아파트 시장은 그야말로 쥐죽은 듯 조용했다. 취득세 감면과 DTI(총부채상환비율) 폐지가 정책에서 제외되자 구매 심리가 급격히 악화된 탓이다. 대책 발표 이전 반짝 이뤄지던 거래는 거짓말처럼 대책 발표와 동시에 자취를 감췄다. 특히 이같은 현상은 강남, 서초, 송파 등 강남권 아파트 시장에서 더욱 뚜렷했다.

송파구 잠실파크리오 아파트 인근 공인중개사는 “현재 집을 사는 이들은 거주를 목적으로 한 철저한 실수요자로 압축된 상황인데 정부에서는 거꾸로 취득세 감면을 제외해 수요자들이 체감하는 세금 차이가 1000만원 가량 나고 있다”라며 “추후 집값이 올라야 손익을 따질 수 있는 양도소득세 감면안을 내놓는 바람에 김만 빠졌다”고 말했다.


특히 박원순 서울시장의 소형주택 확대 공급의 정책적 리스크까지 떠안은 강남구 개포지구내 재건축 단지의 상황은 더욱 심각했다. 재건축 아파트는 실거주 목적이 아닌 투자 성격이 강한 상품이라 최근의 유럽발 재정위기의 악재까지 더해지며 벼랑 끝으로 몰리는 양상이다.

이미 시세는 정부 대책 발표 후 3000만~4000만원 가량 하락했다. 더구나 개포3단지는 조합원들 내부의 반발 분위기 또한 예상보다 거센 상황에 직면했다. 최근 서울시 도시계획위원회에서 소형 비율 30% 이상을 확보하는 조건에서 3단지에 대해 정비구역 지정안을 통과시켰지만, 도리어 후폭풍만 커지는 양상이다.

재건축 사업 진행에 대한 불확실성이 높아지면 가격 하락 압력은 더욱 커질 수밖에 없다는 게 현지 부동산중개업소의 대체적인 관측이다.

강남권의 대표적인 랜드마크 아파트인 반포래미안ㆍ자이 단지 또한 상황은 별반 다르지 않다. 매수자 자체를 찾아볼 수 없는 상황에 대출금 등에 쫓긴 급매물이 줄줄이 쏟아지는 탓에 호가만 떨어졌다. 시세보다 턱없이 낮은 물건들만 간신히 거래가 되는 양상이다.

인근 T공인 대표는 “24억에 호가가 형성된 아파트의 실제 거래 가격은 4억∼5억 가량 낮게 형성되는 것으로 생각하면 된다”고 귀띔했다. 그는 “본래 대선을 전후해서는 거래가 활발히 이뤄졌는데, 올해는 집값이 올라간다는 희망도 없고, 아파트 만큼은 투자 가치가 없다는 답이 나와서인지 통 거래가 없다”고 손사래치며 한숨을 내쉬었다.

박상언 유앤알컨설팅 대표는 이에 대해 “유럽 재정위기로 심지어 대공황 이야기까지 거론되며 심리적으로 위축이 되고 있는 상황에서 7~8월 비수기까지 다가와 앞으로도 시장은 어려운 국면을 지난 것”이라고 했다. 그는 또 “연말에는 대선에 따른 정책 리스크까지 예고돼 있어 결국에는 대선이 끝나야 시장의 방향성이 정해질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도 내놨다.

su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