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가난할수록 우울강도 높아진다?
저소득층 우울 강도, 고소득층에 비해 2배 이상

소득 높을수록 가족관계도 원만

[헤럴드생생뉴스] 소득 수준이 낮을수록 우울감을 더 크게 느끼는 것으로 조사됐다.

7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중산층 가족의 특성과 정책과제’ 보고서에 따르면 저소득층의 우울 수치는 12.6점으로 고소득층(5.5점)에 비해 훨씬 높았다.

이는 고소득층의 우울강도에 비해 2배 이상 높은 수치이다.

특히 우울증에 걸렸을 가능성이 있는 점수인 17점 이상을 받은 저소득층이 30% 나 차지해 이에 대한 대책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지적됐다.

신체 건강의 경우 저소득층은 절반에 가까운 45.5%가 건강이 좋지 않다고 응답했다.

반면 고소득층은 6.7%에 불과했고, 중산층은 15.2%으로 나타났다.

가족 관계에 대한 만족도는 고소득층이 85.9%, 중산층가족이 80.8%로 80%를 상회한 반면 저소득층은 61.5%에 미쳐 고소득층보다 가족관계에 대한 불만이 더 큰 것으로 조사됐다.

공적.사적 사회보장도 차이를 나타냈는데, 국민연금의 경우는 가입률이 고소득층 99.1%, 중산층 99%, 저소득층 97.5%로 비교적 균등했으나 건강보험은 각각 99.6%, 98.1%, 78.4%로 차이가 빚어졌다.

특히 산재보험은 83.5%, 70.3%, 40.9%, 고용보험은 86.8%, 68%, 38.6%로 저소득층의 가입률이 고소득층에 비해 절반에도 훨씬 못 미치는 수치로 조사됐다 .

더불어 개인연금의 경우에는 고소득층이 14.8%, 중산층 6.6%, 저소득층 0.8%, 종신보험은 25.7%, 17.7%, 2.9%로 조사돼 저소득층의 사고나 노후대비는 매우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에 대한 보고서는 “가족 갈등과 가족 해체 등 가족 안정성 약화가 심화되고 가계 부채 확대, 물가와 실업률 상승 등이 지속되면서 중산층이 저소득층으로 유입될 위험성이증대되고 있다”면서 “통합적인 가족 복지정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onlinenew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