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카카오 무료통화 보이스톡 예고에 통신업계 반발
보이스톡

[헤럴드생생뉴스] 카카오가 카카오톡의 보이스톡 서비스를 사실상 국내에서 시작한 가운데 이동통신사들은 반발하며 이용자들의 요금 인상 카드를 거내들 태세다.

이동통신사가 카카오톡의 보이스톡 서비스의 시작에 민감한 반응을 보이는 것은 카카오톡 국내 3500만여명의 가입자를 갖고 있기 때문이다. 현재 SK텔레콤과 KT는 ‘54요금제’ 이상 이용자들에게 ‘마이피플’(다음), ‘라인’(NHN) 등의 모바일 인터넷 전화(mVoIP, mobile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서비스를 허용하고 있다.

SK텔레콤은 보이스톡 서비스가 시작된 당일 오후 이에 대한 보도 자료를 내고 “(mVoIP에 대한)조속한 정책방안 마련이 필요하나, 당장 정부 차원의 조치가 어렵다면 시장 차원에서의 적절한 조치가 시행돼야한다”면서 “해외의 경우, 통신사업자의 요금제 조정 또는 요금 인상이 이뤄졌다”고 밝혔다.

이동통신사들은 mVoIP가 전면 허용되면 이동통신사의 수익 기반인 ‘음성통화’ 영역을 침범해 통신 산업 기반을 붕괴 시킬 수 있다는 우려를 나타내며 요금인상도 고려하겠다는 의지를 보인 것으로 분석된다.

SK텔레콤 관계자는 “앞으로 고객만족을 위해 망에 대한 투자를 계속해 나가야 하지만 mVoIP가 전면 허용되면 투자를 하면 할수록 영업이익이 감소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고 전했다.

KT 관계자는 “미국 통신사인 버라이즌은 지난해 7월 mVoIP를 허용하면서 데이터 요금을 올렸으며 네덜란드도 mVoIP가 전면 허용되면서 데이터 요금이 올라갔다”고 말했다.

반면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은 지난 3월 작성한 연구보고서에서 “3G 스마트폰 요금제에서 mVoIP 이용을 전면 허용하고 품질이 개선 됐을 경우 2.36% 감소하는 것으로 조사됐다”고 밝혔다. mVoIP가 전면 허용되더라도 다소 영업이익 손실이 있을 수 있으나 이동통신업계가 주장하는 만큼 심각한 수준은 아니라는 말이다.

방통위는 ‘보이스톡’ 서비스에 대해 “현재는 시장 자율에 맡겨 놓은 상태”라면서 “통신사업자들의 이용약관에 의해 규율이 된다”고 말했다. 이어 “다만 이 현상에 제도적 변화가 필요한 것인지 어떤 내용으로 조치가 이뤄져야 하는지 다각도로 분석하고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onlionenew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