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우리까지 從北낙인 찍힐라”…민주, 장고끝 결단
민주, 이석기·김재연 제명안 동의
여야 원구성 협상 ‘급한 불’끄면
제명안 공동처리 시간문제
민주 7개월 앞둔 대선 부담에
혁신위 손들어주는 것으로 결단



새누리당의 제안에 주저주저하던 민주통합당이 전격적으로 이석기ㆍ김재연 두 의원에 대한 의원직 제명안에 동의했다. 이ㆍ김 두 의원의 운명이 거대 정당이 세우는 ‘단두대’ 위에 선 꼴이 됐다. 의원직 제명안이 구체화될 시점은 원 구성 논의가 합의된 직후로 전망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6월 5일 열리는 19대 첫 임시국회에서 의원직 제명안 논의가 급물살을 탈 수도 있다. 버티기로 일관하던 국회의원들의 초라한 말로가 예상된다.

박지원 민주당 비상대책위원장은 31일 헤럴드경제와의 통화에서 “원 구성이 아직 끝나지 않아 두 당선자에 대한 의원직 제명안에 대한 구체적인 일정은 말씀드리기 어렵다”고 말했다. 이를 뒤집어보면 원 구성만 이뤄지면 두 당선자에 대한 의원직 제명안 처리는 시간문제라는 의미로도 해석된다. 새누리당의 의원직 제명안에 대해 사안 처리의 열쇠를 쥐고 있던 민주당마저 동의했기 때문이다. 이날 김기현ㆍ박기춘 여야 원내수석부대표도 두 의원에 대한 제명안에 대해 논의할 예정이다. 박 부대표는 “원 구성이 돼야 윤리위원회를 구성할 수 있다. 제명안도 이날 논의할 의제 중 하나”라고 말했다.

민주당이 이ㆍ김 두 의원에 대한 의원직 제명안에 전격적으로 동의한 배경은 연말 대선 때문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이미 ‘종북’으로 낙인찍힌 통합진보당과의 야권연대가 대선에서 표를 갉아먹는 마이너스 요소가 될 것이 자명한 가운데 ‘사퇴’해야 할 두 의원은 ‘사퇴 불가’ 입장만을 되풀이하고 있다.

불과 대선이 7개월 앞으로 다가왔는데 사태는 지지부진, 시간만 끌고 있다 보니 보다 못한 박 비대위원장이 결국 결단을 내린 것으로 풀이된다. 일각에선 5월 2일 통진당 진상조사위의 발표 이후 한 달 동안 기다린 것도 대단하다는 평가가 나온다. 또 6월 1일이 ‘대선 200일 전’이라는 점도 박 비대위원장이 비교적 조기에 결단을 내린 배경이라는 시각도 있다.

민주당은 이와 관련해 공식 논평을 내고 “두 사람이 의원직을 유지하는 것이 통진당에도, 야권연대를 유지하는데도, 정권교체를 이루는 데에 아무 도움이 안 되기 때문”이라고 민주당의 입장이 선회한 배경을 설명했다.

두 의원에 대한 사퇴를 촉구하던 통진당 혁신비대위 측도 민주당의 입장을 거들고 나섰다. 혁신비대위 측은 민주당이 이ㆍ김 의원 사퇴를 요구했다는 점을 강조하며, 비례대표 조윤숙ㆍ황선 후보도 사퇴를 해야 한다고 거듭 촉구했다.

그렇다면 야권연대에 대한 민주당의 입장은 어떻게 정리될까. 민주당 내에선 통진당 당권파와 강기갑 혁신비대위원장을 중심으로 한 혁신위를 분리해 야권연대를 지속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온다. 민주당 관계자는 “현재 분란의 핵심에 선 당권파와는 결별해야 한다. 혁신위 쪽은 계속 관계를 이어나갈 수 있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그러나 이 같은 ‘분리수거안’은 통진당의 분당을 전제한 뒤에야 성립이 가능하다. 이에 대한 민주당의 분명한 입장 정리가 필요한 대목이다.

한편 새누리당과 민주당 원내수석부대표 2인은 6월 5일 임시국회 소집요구서를 국회에 제출키로 합의했다. 경우에 따라서는 임시국회 안건으로 이ㆍ김 두 의원에 대한 제명 처리안이 오를 수도 있다는 의미다.

<홍석희 기자>
/hong@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