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세계인이 반한 ‘K-팝’처럼…패션 한류만의 고유한 이미지 구축하라
동대문 다시 부활하려면…
활기를 잃어가는 동대문. 1980~90년대 한국의 의류업을 선도하며 패션시장의 메카로 불리던 이곳에 이제 르네상스가 필요한 시기가 왔다.

박근규 한국의류판매업협동조합연합회장은 “과거 15년 전 동대문시장의 전성기 때 시장 전체 매출은 50조원에 이르렀지만 지금은 그 절반도 안된다”고 토로했다.

예전에는 한두 평 하는 가게의 권리금이 10억원에 이르기도 했지만 지금은 권리금도 아예 안 붙을 정도인데다, 공실률도 20~30% 정도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젊은이가 인터넷으로 쇼핑몰을 운영하며 일부 성공한 경우도 있다는 사실은 인정했지만, 그들 대부분이 소매를 전문으로 하며 직접 의류를 생산하지 않는다는 점을 아쉬워도 했다.

추호정 서울대 의류학과 교수 역시 동대문시장의 몰락을 인정하면서 “동대문 매출의 대부분이 도매인데 현상유지만 하는 중이며, 소매 상황은 도매보다 훨씬 심각하고 우리 눈에 직접 보이는 부분이라 시장 상황이 좋지 않게 느껴지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동대문시장의 침체 원인에 대해 박 회장은 재래시장의 몰락을 첫손에 꼽았다. 대형 유통업체 진출로 주요 수요처였던 전통 재래시장이 몰락하며 동시에 의류 도매시장이던 동대문도 함께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것이다.

그는 또 저렴한 중국 제품의 진출로 가격경쟁력을 잃어 과거 60대40이던 내수와 수출 비중이 지금은 규모가 많이 줄어든 40대60이라고 평가했다.

추 교수는 침체의 가장 큰 원인으로 디자인, 생산, 유통을 모두 아우르는 SPA의 진출을 꼽았다. 그는 “2005년부터 SPA 브랜드가 들어오면서 국내 중저가 캐주얼 브랜드의 상황이 좋지 않다”고 말했다.

동대문 특성상 카드 결제를 꺼리고 교환과 환불이 쉽지 않은 점도 소비자가 꺼리는 이유라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인터넷 쇼핑몰은 동대문의 보완체이지 침체 원인이 아니다”고 분석했다. 인터넷이 장기적으로 동대문을 유리하게 만들 것이라고 전망했다.

박 회장은 “한국의 기술력은 아직 최고”라며 “이탈리아의 베네통이 중저가 세계 시장을 석권한 것처럼 동대문도 그럴 능력이 있다”고 강조했다. 동대문 상인이 물건을 만들 수 있는 단지를 조성하면 자연스럽게 영세한 소규모 업체가 분야별로 한곳에 모여 경쟁력을 갖출 수 있다고 조언했다. 추 교수 역시 “한류와 연계해 한국적 고유의 이미지와 동대문만의 개성있고 트렌디한 이미지를 결합함으로써 일본 시부야에 진출한 동대문 브랜드처럼 성공시켜야 한다”고 말했다.

동대문을 살리기 위한 각계의 노력도 이어지고 있다. 박 회장은 소상공인연합회를 통해 공동브랜드화를 위한 정부 지원금을 지속적으로 요청하고 있다.

정부 역시 동대문 상권을 기초부터 살리려 노력하는 중이다. 추 교수는 “정부가 한국봉제기술연구소를 통해 봉제기술 및 인력을 양성하는 데 투자하고 있다”며 “이와 더불어 성실하게 세금을 납부하는 동대문 상인에 대해 인센티브를 주고, 신용카드 사용을 장려하는 등 동대문 경제를 투명하게 바꿔야 한다”고 조언했다.

윤대영 서울디자인재단 시민서비스 디자인팀장은 “향후 장인 기술력 확보를 위해 ‘동대문 명장대학’을 만들고, 스마트기기로 동대문 관련 정보를 쉽게 검색할 수 있는 방안도 마련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문영규ㆍ민상식 기자>
/ygmoo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