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보기만 하는 TV 역사 속으로…콘텐츠 필요할 때마다 꺼내본다
보스턴 박람회서 본 케이블 새 트렌드
[보스턴(미국)=손미정 기자] “더 많이 경험하라(Experience more).”

지난 21일부터 사흘간 미국 보스턴에서 열린 세계 최대 케이블 박람회인 ‘2012 케이블 박람회(The cable show)’의 최대 화두는 ‘시청자’였다. 케이블 업계는 이번 박람회에서 단순히 ‘보기만’하는 텔레비전 시대의 종말을 선언했다.

대신 시청자들이 자신들이 원하는 콘텐츠를 쉽게 얻을 수 있는 형태의 다양한 서비스를 선보였다. 마이클 파월 미국 케이블협회(NCTA) 회장은 첫날 “시청자들이 원하는 콘텐츠를 쉽게 찾기 위해서 케이블은 더 간단하고 쉬운 인터페이스를 제공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미국 최대 케이블 회사인 컴캐스트(Comcast)는 이번 전시를 통해 클라우드를 통해 콘텐츠를 제공하는 ‘X1’셋톱박스를 소개했다. 이를 활용하면 뉴스와 날씨,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프로그램 등 여러 형태의 콘텐츠를 해당 시청자의 요구(needs)에 따라 맞춤형으로 제공이 가능하다.

특히 누구나 작동이 용이하도록 복잡하지 않고 조작하기 쉬운 화면 디자인은 지나가는 참관객들의 눈길을 끌기에 충분했다. 이를 본 한 참관객은 “팬시(fancy)하면서도 사용하기 쉬운 디자인이 마음에 든다”고 말했다. 

삼성전자가 스마트허브 플랫폼을 탑재한 스마트 셋톱박스를 소개하고 있다. 이 셋톱박스를 통해 시청자는 삼성 스마트TV와 같은 콘텐츠와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사진제공=한국케이블TV방송협회]

모토로라와 아리스 등이 선보인 홈 네트워킹 기술은 고부가가치의 또 다른 비즈니스 모델로 케이블 업계의 주목을 받았다. 홈 네크워킹 기술은 브로드밴드를 통해 집안 내 기기들을 하나의 게이트웨이에 연결한 후 시청자들이 휴대용 단말기 등으로 무선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세계 케이블 업계의 트렌드를 선도하는 박람회인 만큼 곳곳에서 IT기술을 활용한 이색적인 퍼포먼스도 펼쳐졌다. 특히 6인조 밴드가 오로지 아이패드의 건반, 기타 등 연주용 애플리케이션만을 이용해 꾸민 연주는 박람회장을 순식간에 뜨겁게 달궜다.

양휘부 한국케이블TV방송협회 회장은 “시청자들에게 어떠한 서비스를 할 것인지 장비나 기술로만이 아니라 그들이 ‘무엇’을 원하는지를 담아내는 것이 중요하다”며 “게이트웨이 기술 등은 한국에서도 응용하면 좋겠다”고 말했다.

balm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