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동일제품이 300만원차…예비부부가 봉입니까?
숨기고 끼워넣고 부풀리고…혼수가전‘ 멋대로’가격정책
백화점·대형마트·양판점…
판매처마다 할인액 ‘천차만별’
개별가 안내없이 견적 제각각

원하던 제품 골라사기 힘들고
품목들 크기 커지는 기현상도

“저희가 워낙 싸게 드리는 거라, 개별가격을 공개하면 다른 판매처에서 항의가 들어오기 때문에 개별가격은 말씀드릴 수 없어요.”

바쁘게 계산기를 두드리던 직원이 제품별 할인가를 묻는 질문에 멈칫 하더니 이내 종이에 가전가격을 적어 내려갔다. 제품가격 총합에서 ‘이만큼을 빼 주겠다’고 강조하는 동안 계산기와 견적서를 오가는 현란한 손놀림에 정신이 혼미할 정도다. 분명 다른 판매처와 가격이 다른데, 왜 이 가격이 나오는지는 도통 이해할 수 없었다. 개별제품 가격이나 할인금액이 어떻게 결정되는지 몰랐기 때문이다. 손에 쥔 정보가 없으니 질문을 하려 해도 입이 떨어지지 않았다. 얼떨떨한 기분으로 들고 나온 견적서에는 직원이 뭉뚱그려 적어 놓은 할인가격만 덩그러니 적혀있었다.


윤달이 지나면서 유통가마다 혼수 수요를 겨냥한 마케팅이 한창이지만, 업체별 할인정책이나 소비자에게 제공하는 정보가 달라 예비부부들이 혼선을 겪고 있다.

헤럴드경제가 지난 20일 TV, 냉장고, 세탁기, 청소기, 에어컨 등 5가지 가전제품의 가격을 조사한 결과 백화점과 대형마트, 양판점에서의 가격이 천차만별인 것으로 나타났다.

롯데백화점 본점에서는 LG의 제품들로 혼수를 구성했을 경우 총합이 951만원이었다. 이내 직원이 제시한 최종 금액은 713만원9000원으로 내려갔다. 현재 백화점과 제조업체에서 혼수 수요를 고려해 대대적인 할인행사를 진행하는 데다 130만원 상당의 백화점 상품권, 임직원 할인까지 보탠 결과다.

삼성제품들은 상품권 증정 등의 행사까지 고려하면 최종 가격은 669만원으로 내려갔다. 판매직원은 “삼성이 이렇게 큰 폭의 가격할인을 제공한 적이 없었다”고 수차례 강조했다. 그러나 제품 개별가격은 공개를 거부했다. 워낙 할인을 크게 하다 보니 다른 판매처에서 항의가 들어오기 때문에 입장이 곤란해진다는 논리에서다.

지난 20일 한 가전제품 매장에서 직원이 소비자에게 혼수 가전가격을 설명하고 있는 모습.

이마트로 자리를 옮겨 보니 동일제품으로 가격 비교를 하는 것이 불가능했다. 백화점 직원이 “신혼부부들에게 가장 잘나간다”고 강력하게 추천했던 제품이 정작 이마트에는 없었다. 비슷한 사양의 LG 제품으로 가격을 뽑아 보니 이마트에서는 877만7000원이 나왔다. 직원은 77만원 상당의 신세계상품권을 내세워 800만7000원을 최종가로 제시했다. 삼성제품은 70만원의 상품권 할인까지 고려하면 704만4000원이 최종가격이었다.

하이마트는 LG와 삼성, 모든 제품에 대해 개별가격을 공개하지 않았다. 직원은 “제품을 사기 전까지는 개별가격은 알려 줄 수 없다”는 말만 반복했다. 가격할인정책도 ‘캐시백’이라는 개념으로 설명했다. 우선 신용카드로 제품을 결제하면 카드사의 포인트 결제로 금액 일부를 갈음하겠다는 것이다. 이런 식으로 뽑아 본 최종가격은 LG제품이 804만원, 삼성이 502만원. 직원은 “삼성제품의 이 가격은 오늘까지만 특가로 진행하는 것”이라며 선택을 재촉했다.

3곳을 발품 판 끝에 혼수가격은 800만원대에서 최종 500만원대까지 300만원 상당이 뚝 떨어졌다. 그러나 같은 제품, 내지는 비슷한 사양의 제품 가격이 300만원까지 차이가 나는 배경에 대한 명확한 설명은 없었다.

제품별 가격이나 할인율, 할인정책 등에 대한 질문에는 어느 곳도 속 시원한 답을 주지 못했다. 결국 내가 마련한 혼수가격이 적정가격인지는 장담할 수 없는 상황이 됐다.

유통업체를 거칠 때마다 본래 고려했던 취재 품목의 크기가 커지는 ‘기현상’도 씁쓸한 뒷맛을 남겼다. 본래 취재 품목은 79㎡ 상당의 신혼집에서 첫출발을 하는 예비부부들이 고를 만한 제품들로 정했으나 점포에 들어온 물건 사정과 직원들의 제안을 고려하다 보니, 700ℓ로 생각했던 냉장고는 800ℓ로 커졌다. TV는 42인치를 보여달라 했지만 “신혼부부들이 가장 많이 찾는 것은 47인치”라는 말에 46인치, 47인치로 점점 커졌다.


도현정ㆍ서지혜ㆍ원호연 기자/kate01@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