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에두아르도 멘데즈 베네수엘라 시몬볼리바르 음악재단 대표, “한국, 엘 시스테마를 잘 이해하고 있어”
[헤럴드경제=문영규 기자]음악의 힘으로 세상을 변화시킨다. 엘 시스테마(El Sistema)의 본고장 베네수엘라에서 음악교육 혜택을 받는 어린 청소년들은 35만명에 이른다. 소외계층의 음악교육을 통해 바람직한 사회인으로 성장하도록 돕는 엘 시스테마는 현재 전세계 20개국에 전파되고 있다. 우리나라도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을 중심으로 조직적인 엘 시스테마 도입에 적극 나서고 있다.

문화체육관광부 주최 한국문화예술진흥원 주관으로 올해부터 매년 5월 넷째주에 진행되는 ‘세계문화예술교육주간’행사가 지난 20일부터 열렸다. 행사 참석차 한국을 방문한 ‘베네수엘라 시몬볼리바르 음악재단’의 에두아르도 멘데즈(Eduardo Mendez) 대표이사는 지난 19일 헤럴드경제와의 인터뷰에서 한국이 엘 시스테마를 성공적으로 도입하려면 좋은 선생님을 육성하고 이에 맞는 사회 기반을 갖춰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한국은 세계적인 솔리스트들도 많이 배출됐고 엘 시스테마가 깔고 있는 사회적인 성격을 조합, 조화시켜 전문가 양성을 위한 선생님들을 육성해야 한다”며 “엘 시스테마가 한국의 전 도시에 파급될 수 있도록 여러 센터를 만들고 아이들의 참여 수도 늘려야 한다”고 말했다.


베네수엘라는 정부가 주체가 되어 엘 시스테마를 진행하고 있다. 시몬볼리바르음악재단은 대통령실 산하의 소속기관으로 전체 280개 뉴클리어(엘 시스테마 지역단위) 의 자금운영을 담당한다. 오케스트라 활동비, 장학금, 악기구입비 등도 정부 자금으로 운영된다. 그는 “한국도 이런 재원마련을 위해 정부 자체만이 아닌 민간의 지원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베네수엘라의 한 해 전체 프로젝트의 연 예산은 1억 달러에 이른다.

멘데즈 대표는 “엘 시스테마도 한국의 실정에 맞게 변화시키고 소화시켜야 한다”며 “모차르트나 베토벤과 같은 음악도 중요하지만 한국의 전통음악을 꼭 배우도록 해야한다”고 강조했다. 여기엔 2가지 의미가 있다. 아이들이 음악을 배우고 소속감을 느끼는 동시에 애국심까지 고취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전통음악 전수가의 초빙교육도 필요하다.

하지만 엘 시스테마의 실현을 위한 사회적 비용도 만만치 않다. 많은 금액을 투자할만큼 경제적 타당성이 충분하냐는 기자의 질문에 멘데즈 대표는 “엘 시스테마는 비용이 아니라 미래에 대한 투자라고 생각해야 한다”며 “어떤 프로젝트보다 가치있는 사업”이라고 강하게 표현했다. 

에두아르도 멘데즈 대표이사와 라파엘 엘스터 엘 시스테마 음악교육 총감독 [사진=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그는 유엔 인권선언을 인용하며 교육은 누구나 누려야 할 권리이고 엘 시스테마가 정치적 성향에 따라 포퓰리즘으로 흘러가진 않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번 세계문화예술교육주간동안 멘데즈 대표와 라파엘 엘스터(Rafael Elster) 베네수엘라 엘 시스테마 음악교육 총감독은 한국의 어린이 오케스트라를 4시간 동안 3번에 걸쳐 지도한다. 또한 포럼을 통해 한국 교육자들이 엘 시스테마의 교육방법론을 전수받을 수 있도록 도와줄 예정이다.

멘데즈 대표는 베네수엘라와 한국의 교류를 통해 양측의 교육방법론을 표준화하고 많은 도움을 주고받길 바란다는 희망을 전하기도 했다. 

ygmoon@heraldcorp.com


엘 시스테마: 호세 안토니오 아브레우 박사가 주창한 베네수엘라의 빈민층 오케스트라 시스템을 가리키는 말로 정식명칭은 ‘베네수엘라 국립 청년 및 유소년 오케스트라 시스템 육성재단(FESNOJIV; Fundacion del Estado para el Sistema Nacional de las Orquestas Juveniles e Infantiles de Venezuela)’였으나 현재는 ‘베네수엘라 시몬볼리바르 음악재단’으로 공식명칭이 변경됐다.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