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전문가들 “공격적 재테크는 2개월 후에”...6월 하순이후 자산가치 차별화 전망
[헤럴드경제=조동석 기자]또다시 불거진 유로존 위기가 어디로 튈지, 언제까지 이어질지 예측하기 어렵다. 그렇다고 내 돈을 장롱 속에 묻어 둘 순 없다. 재테크 전문가들은 “공격적 투자보다 자산가치의 변화를 면밀하게 검토하는 시간을 가져야 한다”고 조언한다.

최근 글로벌 정책공조에 대한 신뢰가 하락하면서 극도의 안전자산 선호현상이 일어나고 있다. 불확실성 해소에는 다소 시간이 걸릴 것이란 게 대체적 분석이다.

서준혁 신한은행 투자자문부 차장은 “불확실성은 그리스 향방이 결정되는 2차 총선(6월17일) 때까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면서 “당분간 유로존 뉴스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변동성 높은 흐름을 반복할 가능성이 높다”고 진단했다.

그래도 비관적으로 접근하지 말라고 주문한다. 그리스의 유로존 탈퇴를 막기 위한 목소리가 커지고 있는데다 미국과 중국 등이 긴축완화에 대한 공감대를 강화할 가능성도 있다.

그는 “변동성 확대는 불가피해 보이지만, 그리스의 유로존 탈퇴가 없다면 보유자산의 추가 하락폭을 그리 크지 않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극단적 가정(그리스 유로존 탈퇴)이 위험자산의 가격에 반영되고 있는 만큼 향후 좋은 투자 기회가 올 것이란 설명이다.

결국 시간과의 싸움이다. 투자자들은 위기 이후 예상되는 자산가치의 차별화 가능성을 예측해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하고 있다.

증시의 반등은 당분간 기대하기 어렵다.

최성호 우리은행 마켓애널리스트는 “주식시장의 저평가로 매력이 증가했지만, 단순히 저평가됐다는 이유로 주가의 반등을 예측하는 것은 성급하다”면서 “저평가 기간은 장기화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그러나 “과거 금융위기 경험을 보면 위기 발생 뒤 예외없이 큰 폭의 반등이 나타났다”면서 “유럽 정치권의 불안 문제가 진정되는 하반기 이후 증시의 복원력이 증가할 것”이라고 했다.

특히 인플레이션 우려가 적어, 위기 이후 세계 각국 중앙은행이 유동성 확대라는 무기를 사용할 수 있는 점도 긍정적인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본격적 회복은 유럽중앙은행(ECB)의 정책회의(6월6일)와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6월 19~20일) 회의의 추가 조치를 지켜봐야 한다는 지적이다.

dscho@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