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여론조사>충남ㆍ강원, 야성향 중도층…심상찮은 변심
지난 두 차례의 대선에서 어느 후보에게도 일방 독주를 허용하지 않았던 충청도와 강원도의 표심에 이상 기류가 흐르고 있다. 지난 4ㆍ11 총선의 지역별 구도가 18대 대선에서도 그대로 재연될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 이와 함께 지난 16대 및 17대 대선에서 ‘노무현ㆍ정동영’ 등 야권에 흡수됐던 30%에 달하는 중도층이 갈림길에 놓여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결국 지역별로는 ‘충청도ㆍ강원도’의 표심을, 성향별로는 중도층의 표심을 누가 가져가느냐에 따라 대선 판도가 180도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이다.

▶달라진 중원 표심=헤럴드경제와 케이엠조사연구소의 공동 대선 여론조사 결과, 박근혜 새누리당 전 비상대책위원장의 충청도 지지율은 40.2%에 달했다. 반면 안철수 서울대 융합과학기술대학원장과 문재인 민주통합당 고문의 지지율은 10%대에 그쳤다. 안 원장과의 가상 양자대결에서도 박 전 위원장은 48.0%로 안 원장(37.3%)을 여유롭게 따돌렸다.

이 같은 표심 향배는 지난 16대(2002년)와 17대(2008년) 대선 당시와는 사뭇 다른 모습이다. 과거 두 차례의 대선에서 충청권은 어느 일방의 독주를 허용하지 않았다.

16대 대선에선 노무현 당시 민주당 후보와 이회창 당시 한나라당 후보에게 각각 51.9%, 40.9%로 표를 나눠줬다. 17대 대선에서도 이명박 당시 한나라당 후보와 정동영 당시 대통합민주신당 후보, 이회창 당시 무소속 후보에게 3등분하며 표를 줬다. 줄 듯 말 듯 하며 대선 후보의 애간장을 태웠던 것이다.

특히 17대 대선 당시 충남권은 이명박 후보에게 불과 34.3%뿐이 주지 않았다. 이 후보가 당시 PK(부산ㆍ경남)와 TK(대구ㆍ경북) 지역에서 평균 60%를 웃도는 압도적인 지지율을 얻었던 것을 감안하면 대(大)굴욕이었다.

전통적으로 보수 성향이 강했던 강원도도 과거 두 차례의 대선 이후 치러진 18대 총선과 재보궐선거 등에선 야권 성향으로 변했다. 하지만 이번 여론조사에선 확실하게 보수 성향의 과거 색채로 회귀했다. 박 전 위원장에 대한 지지도는 무려 56.7%에 달한 반면, 문 고문은 3.3%에 그쳤다. 야권에서는 그나마 안 원장만이 16.7%로 선전했을 뿐이다.

흔들렸던 영남권 민심은 박 전 위원장 중심으로 결집하는 양상이다.

▶갈피 못 잡는 중도층=성향별로도 이상 기류가 감지되고 있다. 과거 두 차례의 대선에서 ‘이회창ㆍ이명박’으로 이어지는 보수층의 결집은 여전한 반면, ‘노무현ㆍ정동영’으로 이어지는 야권 성향의 표심에선 이탈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이번 설문조사 결과, 16대 대선에서 이회창 당시 한나라당 후보를 선택한 이들의 85%가 박 전 위원장을 지지했다. 2007년 이명박 후보를 택한 응답자들의 77%도 박 전 위원장 지지로 이어졌다.

안 원장과의 가상 양자대결 구도에서 과거 노무현 후보를 찍었던 표심 중 무려 27.4%가 박 전 위원장에 대한 지지로 옮아갔으며, 문 고문과의 대결에선 34.3%가 박 전 위원장을 지지해 표의 이탈 현상이 뚜렷했다. 다만 박 전 위원장이 어느 범야권 후보와 대결을 펼치느냐에 따라 표층의 이탈 강도는 조금씩 달랐다.

이는 과거 야권 후보에게 쏠렸던 30%에 달하는 중도층의 표가 현재로선 박 전 위원장을 대안으로 생각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통합진보당의 파문과 통진당ㆍ민주당의 야권연대 등에 상당수가 부정적인 입장을 내보이고 있는 것이다.

이상영 케이엠조사연구소 팀장은 “이회창ㆍ이명박으로 이어지는 표심은 영원한 보수층이라고 볼 수 있다”며 “하지만 노무현ㆍ정동영에 쏠린 표심 중 일부는 중도층의 표를 흡수했다는 점에서 아직까지는 상당수 중도층이 갈피를 못 잡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그는 특히 “야권이 결집해 충분히 경쟁력을 회복한다면 이 같은 구도는 언제든 바뀔 수 있다”며 “결국 누가 무주공산으로 남아 있는 중도층을 흡수하느냐에 따라 대선 결과가 달라질 수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헤럴드경제와 케이엠조사연구소가 공동으로 실시한 이번 조사는 지난 10~11일 전국에 거주하는 만 19세 이상 성인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했으며, 95% 신뢰 수준에서 최대 허용 오차범위는 ±3.1%포인트다. 표본추출은 2012년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인구 기준 성ㆍ연령ㆍ지역별 가중치 부여 방식으로 이뤄졌다.

조민선 기자/bonjod@heraldcorp.com


헤럴드경제 보고서
설문결과 데이타
헤럴드 설문지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