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 <저축은행 퇴출 이후> 저축은행발 요동 미미 왜?
[헤럴드경제=조동석 기자] 업계 1위 ‘간판 저축은행’ 솔로몬저축은행(007800)의 퇴출에도 시장과 고객은 요동치지 않았다. 영업정지를 당한 4개 저축은행 계열저축은행의 뱅크런(Bank Runㆍ대규모 인출사태)은 기우(杞憂)에 불과했다.

금융 전문가들은 ‘학습효과’를 첫번째 이유로 꼽는다. 또 1, 2차 구조조정 때보다 피해규모가 상대적으로 적은 점도 한몫했다. 구조조정을 거치면서 시장에 미치는 저축은행업계의 영향력이 점점 축소돼 왔다는 것이다.

8일 금융권에 따르면 2011년 1~8월 9개 저축은행이 퇴출당할 때 예금보호 한도를 넘어선 5000만원 초과 예금은 2278억원이다. 예금자 수는 3만7200명에 달했다.

같은 해 9월 7개 저축은행 영업정지 당시에는 2만5200명(1365억원)이었다. 토마토저축은행이 영업정지를 당하자 계열사인 토마토2저축은행에서 예금인출사태가 벌어지기도 했다.

사상 초유의 대규모 영업정지 사태로 금융시장은 들썩였다. 특히 상환순위가 밀리면서 투자금 대부분을 날릴 수 있는 후순위채를 고령자들이 사들였다는 소식에 국민들은 안타까워했다.

당시 초점은 대주주ㆍ경영진의 비리 의혹과 예금자 보호였다. ‘국가경제’를 논할 정도는 아니었다. 수사기관이 해결할 일이지, 경제정책 당국이 끼어들 공간은 없었다.

금융권의 한 관계자는 “1금융권(은행)이 망하면 국가 전체가 흔들린다”면서 “그러나 저축은행 몇개 사라져도 우리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거의 없다”고 했다.

다른 관계자는 “피해자가 대부분 서민인 탓에 국민 감성을 자극했을 뿐이지, 속을 들여다보면 저축은행업계의 사건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정부도 5000만원까지 보호하면 됐었다.

이런 가운데 총선을 앞둔 정치권이 피해자 구제책을 논의하면서 저축은행 사태는 새로운 국면으로 접어들었다. ‘저축은행 피해자 지원 특별법’이 그것이었다. 그러나 시장논리를 위배했다는 여론의 지적이 잇따르자 곧장 수면 아래로 가라앉았다.

이번에는 피해규모가 현저하게 줄었다. 5000만원 초과 예금은 121억원, 예금자 수는 8100명이다. 저축은행 사태를 경험하면서 고객들이 똑똑해졌다는 해석이 가능하다. 이제 저축은행업계의 사건에 한정될 정도다.

시장에선 옥석을 가리는 계기로 받아들이고 있다. 살아남은 저축은행 주가는 급등했다.

전날 영업정지된 솔로몬저축은행과 한국저축은행(025610) 계열사 5곳에서 389억원이 인출됐다. 영업정지 결정 직전인 지난 4일 730억원의 절반수준이다.

dscho@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