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코트라 “일본기업 印 러쉬, 심상치 않다”
[헤럴드경제=김대연 기자]인도의 내수시장을 겨냥한 일본업체들의 움직임이 빨라지면서, 국내 기업들의 적극적인 대응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30일 코트라에 따르면 인도에 진출한 일본기업은 지난 2006년 초 267개사(주인도 일본대사관 발표 기준)에서, 2011년 말 812개사로 3배나 증가했다. 일본기업들의 대(對)인도 투자규모도 매년 급증하고 있는데, 2011년 4월부터 11월까지 8개월간에는 전년대비 60% 증가한 24억9000만 달러를 투자했다. 최근 일본무역진흥기구(JETRO)의 조사에서도, 조사대상 기업 중 86%가 올해 인도 사업을 확대하겠다고 응답했다. 2000년대 중반까지만 해도 인도시장에 대해 비관적으로 판단했던 일본기업들이 최근 인도 내수시장이 급성장세를 보이자 주목하고 있는 것이다. 특히 한국기업들이 휴대폰과 가전 등의 분야에서 맹활약하는 것도 일본 업체들을 자극했다.

일본의 인도 진출전략 중 가장 중요한 부분은 정부 주도의 양국 협력체제를 적극 활용한다는 점이다. 인도 정부는 연간 2000억엔 이상의 공적개발원조(ODA)자금을 인도에 지원하며 인프라개발에 적극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 작년 인도를 방문한 노다총리가 델리-뭄바이 산업회랑(DMIC)프로젝트에 45억불을 투자하겠다고 발표한 것이 대표적인 사례다.

이 밖에 델리-뭄바이 화물전용철도(DFC)에도 총 프로젝트비용의 80%인 3250억루피(약 8조10000억원)를 일본 ODA자금으로 사용한다. 최근에는 인도 인프라진출의 방식이 더욱 과감해지고 있는데, 올해 1월 일본 경제산업성 에다노 장관은 타밀나두 주(州)정부와 인도 남부 거점인 첸나이에 일본 전용공단 및 미니신도시를 조성하기로 합의했다. 이는 일본식의 상업시설, 학교, 병원, 주거시설 등을 개발하는 인프라수출 사업이다.

이러한 일본의 적극적인 움직임을 반영하듯, 인도에 진출한 일본기업들의 투자규모가 금액기준으로 한국의 9배에 달하고 있다. 따라서 한국 기업들이 진출에 성공한 자동차ㆍ 전자ㆍ 인프라 분야에서의 경쟁이 치열해질 것으로 우려된다. 한국 기업들은 일본기업의 동향에 대비해 한ㆍ인도 경제동반자협정(CEPA)을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다. 한ㆍ인도 CEPA의 경우, 대부분 8년 내에 관세가 철폐되기 때문에 일본에 비해 철폐속도가 빠르다는 점을 유효한 전략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100% 단독투자방식 뿐 아니라 M&A나 합작투자도 검토하는 등 다양한 인도 진출 시도를 검토하는 노력이 필요하고, 중장기적으로 한국기업에 대한 브랜드가치 제고도 요구된다.

배창헌 코트라 글로벌정보본부장은 “일본기업들이 한국 기업들의 성공사례를 적극적으로 벤치마킹하고 있는데, 우리기업도 역지사지로 일본기업들의 전략을 적극적으로 분석할 필요가 있다” 고 밝혔다.

sonamu@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