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철강업계 수입 방어책 먹혔나.. 3월 중국산 저가제품 수입 ’뚝’
[헤럴드경제=신소연 기자]중국산 저가 철강제품이 국내 시장을 교란하고 있는 가운데, 최근 중국산 저가 제품의 수입이 눈에 띄게 감소하는 모습을 보여 주목된다. 이는 국내 철강업계가 지난해 말부터 실시한 수입 방어정책이 일정 부분 성과를 보이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19일 한국철강협회에 따르면, 지난 3월 국내에 수입된 철강제는 총 193만3000t으로 전달 보다 5.4% 늘었다. 중국산 철강제 역시 전달보다 3.2% 늘어난 92만t으로 집계됐다. 철강 성수기를 앞두고 철강 수요를 대비해 수입량을 전반적으로 늘린 것으로 파악된다.

반면 저급ㆍ저가 전략으로 철강업계의 속을 썩였던 후판, H형강 등 일부 제품은 눈에 띄게 수입량이 줄어드는 모습을 보였다. 중국산 보통강 중후판의 경우 지난 달 16만4700t이 수입돼 전달보다 11.1%나 줄었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24만4000t)과 비교할 때도 32.4%나 줄어든 수준이다.

중후판은 지난해 12월 17만9800t이 수입된 후 1월 춘절의 영향으로 17만4900t으로 다소 줄었다가 다음 달 18만5300t으로 다시 증가세를 보였다. 하지만 성수기 직전 수입 물량이 늘어나는 3월에는 오히려 16만t 대로 떨어졌다.

H형강 역시 사정은 마찬가지다. 지난 2월 8만8100t이 수입됐던 H형강은 지난 달 5만6200t으로 36.2%나 줄었다. 지난해 같은 기간(6만t)에 비해서도 7% 줄었다.

H형강도 지난해 12월 4만8100t, 올해 1월 6만2600t, 2월 8만8100t 등으로 지속적으로 수입량이 증가했지만, 올 3월에는 수입량이 5만t 대로 떨어져 지난해 말 수준으로 돌아갔다.

이 처럼 중국산 중후판 및 H형강의 수입이 대폭 감소한 것은 철강업체들의 적극적인 수입 방어 정책이 시장에 영향을 미쳤기 때문인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포스코는 지난 해 말부터 여재슬래브를 활용하거나 범용 후판 제품을 생산해 일부 후판 가격을 중국산 수준으로 대폭 낮추는 방법으로 중국산 저급 제품에 대응했다. 여재슬래브란 품질이 기준치보다 떨어지는 일종의 불량 슬래브로, 보통 고철로 취급해 용광로로 다시 들어간다.

업계에서는 이같은 제품의 판매량이 3~5만t 정도로 전체 판매량의 극히 일부에 불과했지만 시장 반응은 폭발적이었다고 보고 있다.

현대제철과 동국제강도 후판과 H형강 등 최근 수입이 급증한 중국산 제품에 대해 탄력적으로 가격 대응에 나선 상태다.

철강업계 관계자는 “철강업계가 중국산 저급 제품에 대응하기 위해 저가의 제품을 내놨을 때 업계의 반응이 상당히 좋았다”며 “전반적인 철강 수입량이 늘었는데도 후판이나 H형강의 수입 물량이 줄어든 것은 이들의 가격 정책에 영향을 받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carrier@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