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 이번에도 北 또 핵실험 강행?
광명성 3호 실패 이후 또다른 도발 가능성은
김정은 첫 무력시위 무위로
만회 혹은 보여주기식 차원
추가 핵실험 박차 유력

2006년·2009년에도
제재이후 핵도발 전력



북한의 장거리 로켓 ‘광명성 3호’ 발사가 결국 실패로 끝났다. 그러나 국제사회는 ‘발사’ 자체를 ‘도발 행위’로 규정, 제재를 추진하고 있다.

이에 따라 북한이 3차 핵실험에 나설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북한은 국제사회가 제재에 나설 경우 3차 핵실험을 강력 경고한 바 있다. 특히 북한은 김정은 체제 출범 이후 처음으로 강행한 위력 시위인 광명성 3호 발사가 실패함에 따라 만회 혹은 보여주기 차원에서라도 추가 핵실험에 박차를 가할 가능성이 크다.

북한은 과거에도 장거리 로켓을 발사한 뒤 제재를 빌미 삼아 두 차례 핵실험을 실시한 전력이 있다. 2006년 7월 5일 ‘대포동 2호’ 미사일 발사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 1695호가 채택되자 3개월 뒤인 10월 9일 1차 핵실험을 실시했다.

또 2009년 4월 5일 장거리 로켓(‘광명성 2호’ 위성) 발사 한 달여 뒤인 5월 25일 2차 핵실험을 단행했다.

모두 핵탄두를 운반하는 장거리 미사일의 사거리를 늘리기 위한 시험발사 뒤 핵탄두를 소형화하기 위한 핵실험이 뒤따른 것이다. 핵무기 개발의 완성을 위한 순서라는 지적이다. 때문에 이번 장거리 로켓 발사 뒤에도 북한이 3차 핵실험을 이어갈 개연성은 충분하다.

북한 스스로도 광명성 3호 발사 이후 국제사회가 유엔 안보리 결의 등의 제재에 나설 경우 3차 핵실험을 강행할 의사를 시사한 바 있다. 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조총련) 기관지 ‘조선신보’는 “광명성 3호 발사를 시비질하는 미국의 언동은 시곗바늘이 4월 이후로 옮겨지도록 상황을 유도하는 것이나 같다”며 “2ㆍ29 (북ㆍ미) 합의에 포함된 식량 지원이 취소된다면 핵실험을 중지하기로 한 공약도 취소될 수 있다”고 위협했다.

정보소식통이 제공한 위성사진에 따르면 함경북도 길주군 풍계리 핵실험장에서는 새로 굴착된 갱도와 함께 인근에 쌓인 토사더미가 발견됐다.

소식통은 다른 지역에서 반입된 토사더미를 ‘핵실험 준비의 마지막 단계’로 풀이했다. 갱도를 뚫고 핵폭탄과 각종 관측장비를 넣은 뒤 이를 토사로 다시 덮어 핵실험 직후 핵물질의 유출을 막기 위한 것이라는 얘기다.

이번 3차 핵실험을 강행한다면 플루토늄을 이용한 핵폭탄보다는 고농축우라늄(HEU)을 활용한 핵폭탄일 가능성에 무게가 실린다. 북한이 보유한 플루토늄은 30~40㎏으로 추정되는데, 앞서 두 차례의 핵실험으로 상당량을 소진한 상태이기 때문이다. 정부 고위 당국자는 “북한이 2010년 가동을 시작했다며 공개한 영변의 원심분리기시설은 아직 핵폭탄을 만들 만큼 충분한 고농축우라늄을 생산할 수 없는 규모”라며 “HEU 핵실험은 숨겨진 대규모 우라늄 농축시설이 있음을 시인하는 셈”이라고 말했다.

반대로 북한이 핵실험까지 가지는 않을 것이라는 관측도 있다. 핵실험을 한다면 북한 스스로 광명성 3호 발사가 위성 발사가 아닌 장거리 로켓 발사임을 인정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공중 위성 정찰이 이뤄지고 있음을 뻔히 아는 북한이 핵실험 준비 흔적을 고스란히 노출한 것은 향후 ‘협상 카드용’으로 이용하려는 의도가 담긴 행동이라는 관측이다.

북한은 1998년 평안북도 금창리의 지하터널이 인공위성에 노출된 뒤 핵시설 의혹이 일자 미국과 담판을 벌여 쌀 50만t을 받는 대신에 금창리 현장조사를 허용한 바 있다. 조사 결과, 지하터널은 텅 비어 있었다.

아울러 풍계리 핵실험장 주변에 갱도 굴착과 토사 흔적은 2010년부터 꾸준히 포착돼왔기 때문에 새삼스럽지 않다는 얘기도 나온다.


<김대우 기자>
/dewkim@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