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 시너지 효과 못거둔 야권연대의 미래는
사상 초유의 전국적인 야권연대는 4ㆍ11총선에서 일부 위력을 발했지만 파괴력과 확장력에는 분명한 한계를 보였다.

민주통합당과 통합진보당이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에서 약진한데는 야권연대 효과가 적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막판까지 혼전을 거듭하던 수도권 판세는 당초 5% 안팎에서 승부가 갈릴 것이라는 예측이 많았다. 야권연대 경선에서 탈락한 후보의 지지율을 5%로 가정하면, 야권연대가 승패를 가른 지역이 10곳 이상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또 선거막판 양당 후보가 2차 단일화에 성공한 광주서갑과 전남 나주화순에서도 야권단일후보가 승리를 거뒀다.

특히 총 7명의 지역구 당선자를 배출한 통진당의 약진도 야권연대에서 비롯됐다. 당초 당선안정권으로 분류됐던 노회찬 대변인(노원병)을 제외하고, 박빙이나 열세가 예상됐던 지역에서도 당선자를 배출할 수 있던 배경에는 민주당의 양보가 있었기 때문이라는게 냉정한 평가다. 민주당 텃밭인 관악을에서 이상규 후보가 1위를 차지한 것도 야권연대의 위력으로 평가된다.

하지만 ”오로지 선거 승리를 위해 전혀 성격이 다른 정당이 야합했다“, ”정체성이 모호하다“는 비판은 야권연대가 극복해야할 최대 현안이다. 또 민주당 내부와 중도 진보진영에서조차 ”통진당과 야권연대를 지속할 경우, 거꾸로 보수층의 위기감을 증폭해 정권교체가 어렵다“는 회의론도 나오고 있다.

실제 경선과정에서 불거진 여론조작 파문, 탈당 후 무소속 출마, 색깔론 등은 야권연대 파괴력을 수도권에 가두는 결과를 낳았다. 특히 이정희 통진당 공동대표의 여론조작 사건은 진보정당의 도덕성에 상처를 입혔고, 잇따라 터진 ‘경기동부연합’ 논란은 보수층의 결집을 초래했다.

야권연대를 통해 ‘1+1’ 이상의 시너지 효과를 거두지 못했지만, 대선을 코앞에 두고 적전 분열을 하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선거를 위한 야합을 자인하는 꼴인데다. 수도권에서는 일정정도 효과를 거두었기 때문이다. 통진당은 이정희, 심상정 등 단독 대선주자를 선출해 민주당과 경선을 요구할 가능성도 높다. 또 한미 FTA 재협상, 부자증세 등 19대 국회를 뒤흔들 이슈에서 민주당이 새누리당과 1대1 구도를 만들기 위해서도 13석을 확보한 통진당의 협조가 불가피하다.

김윤희 기자/worm@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