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블랙리스트 과연 실효성 있나...효과 미풍에 그칠 듯.. 고가 스마트폰 가격도 큰 변동 없을 듯
5월부터 시행되는 블랙리스트(단말기 자급제도)를 앞두고 ‘반값 스마트폰’, ‘반값 통신비’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실제로 이런 기대가 현실로 나타나는 데는 한계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높은 단말기 출고 가격 구조가 깨지지 않는 한 갤럭시S2, 옵티머스 LTE 등 소비자들이 많이 구매하는 최신 스마트폰의 가격에 큰 변화를 기대하기 어렵다는 점 때문이다.

방송통신위원회는 블랙리스트가 도입되면 지금까지 통신사가 독점하던 휴대폰 유통 구조가 경쟁체제로 바뀌면서 단말기 가격이 내려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 대형 마트나 편의점에서 공단말기를 구입해 약정 기간에도 구애받지 않고 자유롭게 사용하게 될 것으로 보고 있다.

90만원이 넘는 최신 스마트폰을 할부금과 보조금을 통해 싸게 판매해 온 이통사 대리점과 경쟁해야 하는 유통업체들 입장에서는 당장 마케팅 비용 지출에 부담을 느끼고 있다. 실제로 출고가보다 5만원 정도 비싸게 공단말기를 팔고 있는 삼성 딜라이트 샵 관계자는 “블랙리스트가 도입되더라도 수수료 등을 감안해 큰 폭의 할인은 쉽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기존 이통사의 망을 빌려 통신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전화재판매사업자(MVNO)’ 사업자들은 재정 여력상 아예 최신 스마트폰 자체를 취급하기 어렵다. 



CJ헬로비전을 제외한 대다수 MVNO업체들의 지난해 재무 상태를 보면 아이즈비전은 영업손실이 2010년 대비 두 배로 뛰었고 인스프리트는 영업손실이 40배나 증가했다. 이달 중 MVNO 사업을 시작할 온세텔레콤도 영업손실이 지난 해 7배나 늘었다. 한국케이블텔레콤은 MVNO 사업 시작 이후 영업이익 규모가 오히려 감소했다.

MVNO 관계자는 “블랙리스트 제도가 도입되더라도 마케팅비 여력이 안 돼 최신 스마트폰을 제조사에서 갖다 파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며 “20만~30만원대의 중저가 신규 피처폰을 판매할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방통위가 블랙리스트 제도의 원활한 정착을 위해 대안으로 추진하고 있는 중저가 스마트폰 출시도 별 진전이 없다. 

<사진설명>MVNO(가상이동통신망사업자)를 이용하는 가입자가 늘고 있는 가운데, 단말기 자급제(블랙리스트)가 내달부터 시행되면서 통신요금이 더욱 인하될 것이란 기대감이 조성되고 있다. 사진은 소비자들이 통신사 대리점에서 단말기를 개통하는 모습.


정부는 이마트, 홈플러스, 이마트, GS리테일 유통업체와 MVNO 업체들을 대상으로 HTC나 화웨이 등 해외 업체들로부터 중저가 스마트폰을 수입해 유통업체의 네트워크를 이용해 판매하는 방안을 유도하고 있다.

하지만 유통업계는 중저가 스마트폰 판매에 따른 사업성에 대해 회의적인 시선을 보내고 있다. 유통업계의 한 관계자는 “국내 소비자들은 IT 기기에 대해 전문가 수준의 식견을 지닌 이들도 많다”며 “세계 최고 수준의 휴대폰을 사용했던 소비자들이 중저가 스마트폰에 만족할 지가 의문”이라고 말했다.



홈플러스 관계자는 “중저가 휴대폰 유통을 늘릴 생각은 없다”고 말했고 이마트 관계자도 “중저가 스마트폰 취급과 관련해 구체적인 영업 계획이 정해진 것이 없다”고 밝혔다.

방통위 관계자는 “블랙리스트가 도입되더라도 보조금이 지급되지 않는 유통업체에서 구입하는 단말기 가격이 크게 내려가기는 힘들 것”이라며 “중저가 단말기의 유통 없이는 제도의 성공을 장담할 수 없다”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 일부 제조업체는 이통사와의 대립을 꺼려 블랙리스트 제도가 도입되도 직접 유통을 꺼리고 있다. 팬택 관계자는 “앞으로도 자체 유통망에서 공단말기를 팔 계획은 없다”며 “이통사 대리점과 굳이 껄끄러운 관계를 만들 필요가 있겠느냐”고 말했다.

최상현ㆍ도현정 기자/puquapa@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