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죽음의 공포 ‘공황장애’ 급증세...40대가 최악, 왜?
갑자기 극도의 불안감으로 숨이 막히고 심장이 두근거리는 ‘공황장애’를 겪는 환자가 매년 10.7%씩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별로는 ‘F세대’로 우리나라 정치 사회 중심 세력으로 부상하고 있는 40대에 가장 많았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김종대)에 따르면 ‘공황장애질환’의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 2006년 3만5000명이던 진료환자가 지난해에는 5만9000명으로 증가하며, 최근 5년간 연평균 10.7%의 증가율을 기록했다.

인구 10만명당 진료환자도 2006년 74명에서 2011년 119명으로 매년 꾸준히 증가(연평균 9.9%)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별로는 2011년 기준 30~50대 진료환자가 4만2565명으로 전체 환자의 3/4정도를 점유했다. 그 중에서도 40대의 경우 1만6811명으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지역별로는 부산에서 공황장애 진료환자가 많았다. 부산의 경우 인구 10만명당 152명에 이르러 서울(123명), 대구(136명), 인천(106명), 광주(77명)을 모두 넘어섰다.

공황장애는 죽음이 임박할 것 같은 극심한 불안과 함께 두통, 현기증, 가슴 두근거림, 호흡곤란, 저림 등의 신체증상이 나타나는 불안장애의 일종이다.

▶원인=공황장애의 원인은 생물학적인 요인과 심리학적인 요인 두 가지로 나누어 설명되고 있다. 생물학적인 요인으로는 ‘교감신경계의 과활성’을 들 수 있다. 심장이 뛰고 손발이 저리는 등의 공황 증상은 교감신경계의 활동이 증가하였을 때 나타나는 증상들이다. 따라서 공황장애는 교감신경계의 주요 신경전달물질인 노르에피네프린을 분비하는 ‘청반핵’ 이라는 뇌 부위의 이상으로 나타나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외에도 락테이트 등 대사물질의 이상, 뇌 활성을 억제하는 신경전달물질인 GABA(감마-아미노낙산)의 이상 등이 원인으로 여겨지고 있다.

또 심리학적으로는 신체증상에 대해 과민하게 반응하는 심리적 특징과 그것에 대한 부정적이고 재앙화적인 사고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증상=공황증상은 신체증상, 사고증상, 행동증상으로 나누어 이해할 수 있다. 신체증상은 심장박동의 증가, 호흡곤란, 근육긴장, 식은땀, 두통, 어지러움증, 손발 저림, 속이 미식거리고 토할 것 같은 느낌 등이 여기에 해당된다. 사고증상은 공황 발작 시에 ‘이러다 죽는 것은 아닐까?, 이러다 미치는 것은 아닐까?’ 등의 생각을 하게 되는 것이다. 사고증상이 중요한 이유는 이것이 행동증상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행동증상이란 공황장애로 인한 불안사고로 평상시 생활패턴에 변화가 오는 것을 말한다. 지하철 차량, 터널 등 공황발작이 일어날 것 같은 상황과 장소를 피하는 광장공포증이 생길 수도 있고 불안을 줄이기 위해 술을 끊고 커피를 안 마시는 등의 미묘한 회피 행동들이 생길 수 있다. 또한 공황 발작이 없을 때에도 “언제 공황발작이 일어나지 않을까?” 하는 예기불안으로 인해 긴장과 불안수준이 높아질 수 있다.

공황장애의 약 1/2에서 광장공포증이 동반되는데, 광장공포증이란 ‘자신이 남에게 도움을 받을 수 없다고 생각하는 장소(엘리베이터, 터널, 비행기, 지하철, 광장 등) 를 두려워 하는 것’ 이다. 공황장애는 광장공포증의 유무에 따라, ‘광장공포증을 동반한 공황장애’, ‘광장공포증을 동반하지 않은 공황장애’ 그리고 ‘공황발작을 포함하지 않는 광장공포증’으로 나눌 수 있다.

원래 공황장애는 초기 성인기에 흔히 생기게 되며, 평균 발병나이는 25세 정도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공황장애의 증상으로 가슴두근거림이나 호흡곤란등의 증상이 나타나는 만큼 20대 중반 증상이 발병됐다고 하더라도 심장내과, 호흡기내과 등을 먼저 내원하는 경우가 많고, 타과 진료시 이상이 없다고 진단받을 경우, 정신건강의학과를 찾기 때문에 30대부터 공황장애 진단을 받는 경우가 많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치료법=공황장애의 치료법에 대해 현재까지 공황장애에 가장 효과적인 치료는 약물치료와 더불어 인지행동 치료를 실시하는 것이다.

약물치료는 항우울제와 항불안제가 주로 쓰이는데 항우울제는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차단제(SSRI), 세로토닌, 노르에피네프린 재흡수 차단제(SNRI), 삼환계 항우울제 등이 있고 항불안제는 자낙스(alprazolam), 리보트릴(clonazepam) 등의 벤조디아제핀이 있다.

인지행동치료는 사소한 신체감각을 지나치게 과대평가, 확대해석하여 파국적 사고로 발전시키는 공황장애의 인지왜곡을 교정하는 치료이며, 이외에도 호흡 재훈련법과 근육이완 훈련, 노출요법(상상노출, 가상현실을 통한 노출, 실제 노출 방법)등이 있다.

박도제 기자/pdj24@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