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희망온돌사업 예상밖 성과…2014년까지 연중 추진
서울시는 지난 겨울 실시한 희망온돌 사업의 효과가 예상보다 좋았다며 이 사업을 2014년까지 연중 추진한다고 20일 밝혔다.

희망온돌 사업은 박원순 서울시장이 “밥 굶는 사람, 냉방에서 자는 사람이 없어야 한다”며 시작한 서울시 복지사업으로 주변의 형편이 어려운 이웃을 민관이 협력해 돕는 사업이다.

시는 지난 겨울 시범 추진한 이 사업의 문제점을 보완해 박 시장 임기인 2014년 6월까지 연중 계속 추진하기로 했다.

시에 따르면 지난 겨울 서울시는 희망온돌 사업을 통해 3171개 시민단체와 함께 29만1325명에게 168억6600만원 상당의 복지 혜택을 제공했다. 그 중 식료품 난방용품 등 물품이 81억2300만원, 생계비 의료비 난방비 주거비 등 현금이 53억2900만원 지원됐다.

시 관계자는 “매년 관 주도로 실시해 온 따뜻한 겨울나기 사업의 2010년 실적(2010년 140억3900만원) 대비 20% 증가한 액수”라며 “민관이 함께한 전 사회적 복지정책이었다는 데 큰 의미가 있다”고 자평했다.

예를 들어, 동자동사랑방같은 지역복지시설에서 취약계층을 발견하면 한국열관리시공협회, 대한에너지관리인협회 등의 단체가 보일러 수리 재능기부를 하고, 서울시와 자치구 갈월복지관 등의 공기관이 필요 예산을 지원하는 형식으로 사회적 네트워크를 활용한 민관 협력이 이뤄졌다는 것.

희망마차는 전원마을, 개미마을, 성지마을, 영등포 쪽방촌 등 서울시내 취약 지역을 52차례 다니며 약 6000가구에게 기부받은 쌀, 라면, 장갑, 담요 등을 나눠줬다. 한편, 민간재능기부도 7778건 이뤄졌다.

이 사업 결과 지난 겨울에는 노숙인 동사자도 발생하지 않았다고 한다. 지난 2009년 겨울 서울역 주변에서는 동사자 4명, 2010년 겨울에는 3명이 발생했다.

시는 대상 인원 29만여명 중 7만명이 새롭게 발굴된 복지 사각지대층이며 이들 중 93.5%가 기초생활수급권자인 것으로 나타나 기초생활수급권자에 대한 추가 지원이 절실한 것으로 분석했다.

시는 제도권 복지정책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오는 6월 민변, 참여연대 등과 함께 서울복지법률센터를 열어 복지 관련 법률서비스도 제공할 계획이다.

또 한 눈에 복지사업 현황을 알아볼 수 있는 온라인 희망온돌 커뮤니티 맵(http://ondol.welfare.seoul.kr),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희망온돌 홈페이지(http://www.ondol.welfare.seoul.kr), 서울형그물망복지센터(1644-0120) 등을 운영 중이다.

김수한 기자/sooha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