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1심 유죄 ’임종석“ 무거운 짐 내려놓는다”
임종석 민주통합당 사무총장은 9일 4ㆍ11 총선 공천 갈등에 대한 책임을 지고 사무총장직과 서울 성동을 후보직에서 사퇴했다. 지난 1ㆍ15 전당대회에서 한명숙 대표 체제 출범 이후 1월 18일 사무총장에 오른 지 52일 만이다.

임 사무총장은 9일 국회 정론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사무총장으로서, 서울 성동구(성동을)의 총선 후보로서의 무거운 짐을 내려놓는다”며 “야권연대 성사 이후에 부담을 책임지고 싶었지만 세상 일이 늘 마음같지 않았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저, 임종석은 제가 책임져야 할 일을 보좌관에게 떠넘기는 그런 사람은 아니다. 그렇게 살아오지는 않았다”며 “끝까지 한결같은 마음으로 저를 믿어주신 한명숙 대표에게 감사드린다”고 말했다.

당내에서는 임 총장의 무죄 가능성이 높다는 여론이 압도적이지만 민주당 공천이 쇄신과 혁신에 실패했다는 비판 여론을 무마하고 최근의 당 지지율 하락세 등을 만회하기 위해서는 임 총장이 결단을 내려야 한다는 목소리가 적지 않았다.

특히 통합정당 출범의 한 축인 이해찬 전 총리, 문재인 당 상임고문 등 ‘혁신과 통합’이 8일 긴급회의를 소집해 사실상 임 총장 사퇴를 요구하자 더 이상 버티기가 어려웠던 것으로 해석된다.

민주당 입장에선 공천 과정에 대한 국민적 실망감을 해소하고 쇄신공천의 길을 열기 위해 임 총장의 사퇴가 사태 해결의 물꼬라는 인식이 강하게 작용했던 것이다.

임 총장은 1989년 전대협 3기 의장을 맡아 임수경 방북사건을 기획하고 지난 2006년 16대 총선에서 34세의 최연소 의원에 당선되는 등 486 정치인의 대표주자로 통했으나 이번 사퇴를 계기로 상당한 정치적 부담을 안게 됐다.

한 대표는 “임종석의 억울함을 벗기기 위해 끝까지 싸우겠다”며 임 총장을 기용했지만 결과적으로 두 사람 모두에게 ‘독배’가 된 셈이다.

한편 임 총장이 전격 사퇴함에 따라, 신계륜, 이화영, 김낙순 전 의원 등 비리 연루 혐의 등으로 사퇴 요구를 받고서도 공천이 확정된 인사들의 향후 거취에도 관심이 집중된다. 


<홍석희 기자> / 
hong@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