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감독원의 특별조사 결과 시세조종 등의 불공정거래가 일어난 테마주는 총 31개 종목이다. 증선위는 31개 종목을 모두 공개했을 경우 부작용이 우려된다는 이유로 발표하지는 않았지만 기존에 알려진 대표 정치테마주는 모두 포함됐다. 31종목 가운데는 일부 SNS, 바이오테마주도 포함됐다. 작전 세력들은 막대한 자금과 치밀한 정보조작, 초단타 매매의 삼박자를 갖춘 것으로 드러났다.
이번에 고발된 시세조종 세력은 동원한 자금 규모만도 수 백억에 달했고, 단타 매매가 많아 적발이 어려웠던 것으로 전해졌다.
증권사 출신 전업투자자인 A씨는 작년 8월부터 올해 1월 중순까지 안철수연구소와 EZ 등 테마주 30개 종목에 대해 상한가 굳히기 주문 274회 등 총 401회의 시세조종으로 시장을 어지럽혔다. A씨를 도운 B씨는 보수를 받고 급등세가 강한 종목을 관찰하며 실시간으로 A씨 에게 알리는 역할을 했다. B씨는 A씨를 대신해 매도주문을 제출하는 업무를 전담하기도 했다.
또 다른 전업투자자인 C씨는 친구와 공모해 200억원의 자금력을 동원해 문재인 테마주로 알려진 S&T모터스와 바른손 등 8개 종목에 대해 시세를 조종했다. 이들은 작년 9월부터 올해 1월까지 875차례의 시세조종 주문을 내고 11억원 규모의 이득을 봤다.
회사측에서 정치인과 관련없다고 해명한 솔고바이오도 작전세력이 주가를 움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 투자자인 D씨는 솔고바이오 주식 8만주를 미리 사둔 뒤 이 회사의 사외이사가 안철수 서울대 융학과학기술대학원장과 친밀한 관계라는 근거 없는 내용의 글을 4차례 인터넷에 올렸다. 또 “S사가 C사를 탐내는 이유” 등 솔고바이오가 M&A 대상이라는 근거없는 내용의 글도 게시했다. 그는 신뢰성이 높은 글로 보이기 위해 4명의 타인 개인정보를 도용하고, 9개의 필명을 만들는 등 치밀함을 보였다. 이같은 방법으로 투자자들을 유인해 주가가 상승하면 보유주식을 팔아치웠으며, 부당이득 규모는 7000만원이다.
한편 이번 발표에도 정치테마주들의 반응은 미미하다. 조사 발표에 앞서 이미 주가가 50% 안팎까지 하락한 종목이 많은 데다, 발표내용에 대한 예측이 이미 많이 이뤄지면서 실제 조치 발표에는 별다른 영향을 받지 않은 것으로 풀이된다. 전일 한국거래소 시장감시위원회도 투자위험종목 지정조건을 낮추고, 투자경고종목 지정과 거래정지 조치 발동요건을 완화시킨 이상급등주 제한조치를 내놨다.
<안상미 기자 @hugahn>hug@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