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 오너<박근혜>는 계파공천, CEO<한명숙>는 편파공천 논란...공천후유증 내막은
개혁 공천을 공언했던 여야가 약속이나 한 듯 나란히 공천 후유증에 휩싸이면서, 박근혜 새누리당 비대위원장과 한명숙 민주통합당 대표의 정치적 리더십에 눈길이 쏠리고 있다.

양당에는 각각 공천위원회와 공심위원회라는 공식 기구가 있지만, 최종 공천 과정에서 ‘당의 간판’인 두 사람의 선택과 판단이 직접적인 영향력을 행사할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9일 정가에 따르면 박 비대위원장과 한 대표의 리더십은 각각 ‘오너’와 ‘전문경영인(CEO)’의 성격으로 뚜렷이 구분된다.

여권의 유력 대선주자이기도 한 박 비대위원장은 MB정부의 레임덕 가속화를 계기로 당의 전권을 장악한 실질적인 1인자인 반면 한 대표는 민주당이 야권통합을 위해 시민통합당(혁신과통합)과 한국노총 등을 끌어안는 과정에서 합의 선출된 관리형 대표다.

실제로 양당 공천 갈등의 배경에는 박 비대위원장과 한 대표의 리더십 성격 차가 고스란히 녹아 있다.

새누리당은 공천결과에 박심(朴心)이 깊숙히 개입됐다고 본 친이계들의 집단 반발, 민주통합당은 각 진영별 공천 안배에 실패한 한 대표의 카리스마 부재를 사방에서 비판하는 양상을 띠고 있다.

친이계의 반발은 ‘피의 월요일’로 불린 지난 5일 2차 공천자 명단 발표에서 정점에 달했다.

이날 단수 공천과 경선 대상에서 배제된 친이계로 분류되는 현역 의원은 모두 16명으로, 자신이 지원한 지역구 공천에서 탈락한 현역 의원 20명 가운데 80%를 차지했다. 반면 친박계는 당시 3명만 쓴잔을 마셨다. ”오너의 지위를 악용한 보복 공천, 뺄셈 정치“라는 비판이 당 내에서 본격 제기된 것도 이 때부터다.

친이계의 좌장 이재오 의원이 8일 기자회견을 자처해 “감정적이고 보복적인 공천을 하지 말라”고 강력 주장한 것도 이런 배경에서 비롯된 것으로 풀이된다.

민주당은 ‘친노, 486, 이대’ 공천이라는 논란 속에 공천대상에서 배제되다시피한 한국노총의 이용득 위원장과 시민통합당 출신의 이해찬 상임고문 등이 ‘탈당 불사론’에 불을 지피면서 심각한 균열음을 냈다.

‘오너’ 박 비대위원장의 경우 반대세력인 친이계를 끌어안는 포용력에, ‘CEO’ 한 대표는 스스로에게 부여된 통합의 정치력에 일정한 한계를 노출한 셈이다.

공천 후유증을 차단하기 위한 행보에서도 두 사람은 뚜렷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공천 과정에 친이 친박은 없다”는 박 위원장의 입장 표명 후 새누리당 공천위는 지체 없이 정의화 주호영 이춘식 등 영남과 수도권 친이계 인사들을 대거 공천하는 쪽으로 가닥을 잡았다.

반면 민주통합당은 임종석 사무총장의 공천권 시비를 좀처럼 풀지 못하다가, 문재인 상임고문과 한 대표의 회동이 언론에 공개된 직후에야 사퇴 결정을 내렸다.

오너 체제의 속전속결과 CEO 체제의 좌고우면을 엿볼 수 있는 대목이다.

한편 양당의 사태 수습 노력에도 불구하고 탈당 러시와 재심 요구 등 낙천자들의 반발이 좀처럼 줄어들 기미가 보이지 않고 있어 박 위원장과 한 대표의 리더십 검증은 여전히 현재 진행형으로 남게 됐다.

<양춘병 기자@madamr123>
yang@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