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바이오협회ㆍ바이오의약품협회ㆍ제약협회’ 바이오업계 세살림 실효성 논란
줄기세포, 바이오시밀러 등 바이오의약품 연구개발 성과가 잇달아 나오는 가운데 바이오산업 관련 단체는 ‘세 살림’을 하고 있어 효율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8일 제약ㆍ바이오업계에 따르면 한국바이오산업협회, 바이오벤처협회, 생명공학연구조합은 지난 2008년 11월 ‘한국바이오협회(회장 서정선 마크로젠 회장)’로 통합됐다. 산ㆍ학ㆍ연의 통합 요구와 함께 유망분야인 바이오산업을 지원할 단일 구심점이 필요하다는 지적에 따른 것이다. 

이런 와중에 ‘한국바이오의약품협회(회장 김명현 전 식약청장)’가 지난해 5월 설립됐다. 바이오의약품 사업을 영위하는 제약기업들이 거의 ‘한국제약협회(회장 윤석근 일성신약 사장)’와 바이오협회에 가입해 있는 상황에서 중복 논란이 적지 않았다. 



세계적으로 바이오의약품 개발 경쟁이 심화되는 가운데 통합적인 기술 및 정책지원이 절실한 상황에서 분화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있었다. 심지어 퇴직 공무원 일자리 보장용이라는 지적도 나왔다.

회원사 수는 바이오협회 300여개, 제약협회 200여개, 바이오의약품협회 30여개에 이른다.

이에 따라 주요 제약사나 바이오의약품 업체들은 2개 단체 이상 중복 가입해 있는 실정이다. 이는 ▷운영비 중복지원에 따른 국고낭비 ▷회원사 유치경쟁 등의 문제를 유발하고 있다. 이밖에 기술ㆍ조사자료도 협회별로 따로 작성하게 돼 내용이 빈약할 수밖에 없다는 한계도 있다.

한 줄기세포치료제 업체 관계자는 “회원가입 권유로 3개 단체에 가입했지만 실질적인 도움은 되지 않는다. 친목모임 정도에 불과하다”고 말했다.

단체별로 약간의 차이는 있다. 우선 인가기관이 바이오협회와 제약협회는 지식경제부, 바이오의약품협회는 식품의약품안전청이다.

따라서 앞의 두 단체는 연구개발과 기술지원, 산업활성화가 주요 목적인 반면 바이오의약품협회는 임상과정에 들어가거나 임상마무리단계의 인ㆍ허가 관련 정보와 편의 제공이 취지다. 바이오협회는 연구개발 위주 소형업체가, 바이오의약품업체는 상대적으로 대형 업체들이 주요 회원사로 포진해 있다.

하지만 관련 기업들이 체감하는 지원서비스는 높지 않다. 또 설립목적이나 인가기관이 다르다고 해서 통합이 불가능한 것도 아니라는 지적이다.

한 대형 제약사 간부는 “회사별 입장차가 있어 유사 협회들이 설립됐긴 하지만 정책개발과 제도개선 건의, 기술ㆍ제품정보 공유 등 큰 차이는 없다”며 “통합효과가 오히려 클 것으로 본다”고 밝혔다.

바이오협회와 바이오의약품협회 측은 이런 의견에 대해 “중복문제가 지적되고 있긴 하나 기술지원이 중심이냐 인허가 등 사업화가 중심이냐에 따라 협회별 역할의 차이는 분명히 있다. 올 초 서정선ㆍ김명현 양 협회장이 만나 이런 의견을 공유하고 윈윈하는 방향으로 가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조문술 기자/freiheit@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