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후쿠시마 원전사고 확대는 日정부의 혼선때문
장순흥 카이스트 원자력 및 양자공학과 교수가 후쿠시마 원전사고의 확대에 대해 일본 정부의 역할론을 제기하며 의사결정의 혼선이 사고 확대를 불러일으켰다는 주장을 제기했다.

장순흥 교수는 지난달 23일부터 25일까지 후쿠시마 원전사고 조사위 국제 자문위원으로 사고현장을 방문하고 일본 정부 조사위원회의 보고를 받은 후 이같이 평가했다.

그는 지난 5일 교육과학기술부 기자실에서 있었던 브리핑을 통해 국제자문위원들의 사고 종합 평가 내용을 언급하며 “운영기관인 도쿄전력이 사고에 대한 책임을 지고 대책을 추진했어야 했다”며 간 나오토 총리의 개입이 대책마련에 혼선을 가져왔다고 판단했다.

장 교수는 간 총리가 원자로 노심이 녹는 상황에서 물을 넣지 말라는 지시를 내렸지만 당시 발전소장이던 요시다가 운전원에게 몰래 물을 넣어 냉각시키란 지시를 내렸다는 일화도 소개했다.

그는 “냉각을 위해서 바닷물이라도 넣어 노심용융이라도 막았어야 했다”며 당시 바닷물이 사고 대비 매뉴얼에 없어 대처하지 못한 점도 지적했다.

일본 정부가 노심용융에 대해 늦게 발표해 국제사회와 자국민들의 신뢰를 얻지 못한 점도 지적했으며 원전 2호기의 원인과 분석 경과가 미흡한 점도 문제시 했다. 장교수는 특히 2호기의 경우 격납용기의 파손이 1, 3호기처럼 웻웰(Wet Well)이라는 원자로 외부 용기 아래 격리실을 통해 물과 함께 방사능이 유출되지 않고 드라이웰(Dry Well)이라는 가압용기 바깥쪽에서 누출이 일어나 많은 양의 방사성 물질이 기체상태로 대기에 확산돼 배출됐다는 분석결과를 내놓았다.

장 교수는 원자력 안전 증진을 위해 중대사고에 대비하기 위한 여과식 격납용기 배기 시스템 등을 갖추고 외부사건과 내부사건을 모두 대비할 수 있는 매뉴얼 개선도 필요하다고 전했다.

또한 “좋은 인력 양성이 가장 중요하다”며 원전관리 인력들의 안전교육과 훈련이 필요하고 원전 사고의 경제적 손실을 강조하며 안전문화 확대를 요구했다.

제도나 정책의 개선도 요구했다. 그는 “일본은 국제방사선방호위원회(ICRP)의 권고에 따라 20mSv/yr에 11만명의 주민들이 대피했으나 이런 강제대피는 일부 근접지역의 대피만으로도 충분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오히려 주민들의 대거 이동으로 혼란과 재산피해가 더 컸을 것이라는 의견도 제시했다.

한국의 원전관리에 대해선 “국내 원전의 사고대응 능력은 세계적인 수준이며 합격점”이라며 신뢰를 보였다. 세계적으로 비교해도 원전 정지율이 1년에 1회에 불과하고 우리나라는 최근까지 원전개발에 힘을 쏟아 잘 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편 이번 후쿠시마 원전사고 조사위원단은 장 교수 외에 리처드 메저브(Richard A. Meserve) 카네기연구소장, 앙드레 클라우드 라코스테(Andre-Claude Lacoste) 프랑스 원자력안전규제당국 의장, 라스 에릭 홈(Lars-Erik Holm) 스웨덴 보건복지청 사무총장, 차 궈한(Chai, Guohan) 중국 환경부 수석 엔지니어 등으로 구성됐다.

<문영규 기자 @morningfrost>

ygmoo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