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 秋史가 모사한 신라시대 ‘무구정탑원기’ 발견
추사 김정희가 모사한 ‘무구정탑원기’의 원본이 화성 용주사에서 발견됐다.
이 발원기는 신라 제46대 문성왕 17년(855) 지금의 경주 남산 창림사에 3층석탑을 건립하면서 그 조성내력을 적어 봉안한 발원문이다. 그동안 이 발원문은 실물이 아닌 모사본만 전해져왔다.

대한불교 조계종 산하 불교문화재연구소(소장 미등 스님)는 28일 "한국의 사찰문화재를 일제조사하는 과정에서 경기도 화성의 용주사 효행박물관이 보관 중인 ‘국왕 경응 조 무구정탑 원기’(國王慶膺造 無垢淨塔 願記)를 발견했다"고 했다.

조사 결과 이 발원기는 문성왕(재위 839-857)이 창림사에 탑을 세우면서 납입한 금동판 형태의 발원문으로 확인됐다. ‘경응’(慶膺)은 문성왕의 생전 이름이며, 무구정(無垢淨)은 통일신라시대에 탑을 세우는 근거가 된 불교경전인 무구정광대다라니경을 가리킨다.



세로 22.4cm×가로 38.2cm의 얇은 동판에 금을 입힌 이 발원기에는 탑을 건립하게 된 배경과 발원 내용, 관련 인물 등이 기록됐다. 이 발원기는 1824년 석공(石工)이 창림사의 석탑을 무너뜨릴 때 무구정광 다라니경과 함께 발견됐다. 당시 금석학의 대가이자 서예가였던 추사(秋史) 김정희(金正喜.1786-1856)는 그 글자를 그대로 모사했다.

추사가 베껴 적은 이 발원기는 조선총독부가 편찬한 보고서 ‘경주 남산의 불적’(1940년)에 수록됐으나 그 실물은 어디로 갔는지 확인이 안됐었다. 불교문화연구소측은 정밀조사 결과 효행박물관 보관품과 추사가 말한 창림사 석탑 발원기의 내용과 체제, 서체가 모두 동일한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이 발원기는 경기 화성 용주사(龍珠寺)의 말사인 이천 영원사(靈源寺)에서 1968년 대웅전을 해체하다가 기단에서 발견돼 계속 보관되다가 지난해 용주사 효행박물관에 기탁됐다.

이 금속판은 분석 결과 순동(Cu), 금(Au), 수은(Hg)이 검출됨으로써 동판에 금을 입힌 것으로 확인됐다. 또 발원기에서 확인된 글자는 쌍구법(雙鉤法)으로 만든 것으로 드러났다.
이같은 기법이 염거화상탑지(844년), 황룡사 구층목탑 찰주본기(872년) 등 통일신라 동판에 글씨를 새길 때 즐겨 사용했던 방식이다.

이영란 선임기자/yrle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