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레미콘업계 일단 22일 조업중단 강행…관급공사 부터 차질 우려
레미콘업계가 22일 일단 무기한 조업중단에 들어간다.

올 초 시멘트값 인상으로 촉발된 시멘트-레미콘사 갈등은 레미콘 조업중단을 계기로 레미콘-건설사 갈등으로 비화됐다.

지식경제부와 국토해양부는 지난 20일 레미콘-시멘트-건설사 3자 대표를 정부 과천청사로 불러 시멘트값 인상으로 촉발된 업계 갈등을 조정하기 위한 회의를 열었으나 합의 도출에 실패했다. 3자는 22일 다시 모이기로 했다.

레미콘업계는 협상력을 강화하기 위해서라도 예정된 조업중단을 강행할 방침이다. 정부는 이날 2주 이내에 합의안을 도출할 것을 업계에 요청했으나 레미콘업체들은 합리적인 단가인상이 받아들여지지 않으면 수용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서울경인레미콘조합 관계자는 “일단 전국적으로 22일부터 파업(정확히는 조업중단)에 들어간다”며 “레미콘 납품단가 인상이 받아들여지 않을 경우 무기한 파업을 실시할 것”이라고 밝혔다.

레미콘조합의 이런 강경한 입장에도 불구하고 레미콘업계 내부에서는 다른 분위기가 감지된다. 750여개 중소 레미콘 사와 달리 유진, 삼표, 아주 등 대형 레미콘 전문업체들은 조업중단을 꺼리는 분위기다. 대형 건설사들은 이들 전문업체 제품을 선호하기 때문이다.

또 레미콘 특성상 재고분을 소진해야 하기 때문에 곧바로 조업중단을 하기 힘들다는 한계도 있다. 건설사들도 레미콘 공급이 중단돼도 당장 3∼4일은 콘크리트 타설 외 다른 공정으로 공사 지속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조업중단에 따른 즉각적인 파장은 중소 레미콘사간 공공입찰로 실시되는 관급공사에 국한될 것으로 관련업계는 분석하고 있다.

다만 동절기가 끝나 일반공정으로 전환돼 건설공사가 활발해지는 시점에서 레미콘 공급이 중단되는 것은 레미콘-시멘트-건설 모두에게 부담이 클 수 밖에 없다. 따라서 3자간 타협이 이외로 쉽게 이뤄질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다.

재계 관계자는 “건설공사가 중단될 경우 영향은 관련업계 뿐만 아니라 건설 근로자들의 삶과도 직결돼 파장이 적지 않다”며 “일단 3자가 부딪혀본 이후엔 빠른 결론이 나올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조문술 기자/freiheit@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