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 문화재, ‘소 잃고 외양간 고치기’ 는 없다
이탈리아 등 문화재 보존ㆍ관리에 앞서있는 유럽에서 이미 1990년대 초반부터 제작, 문화재보호 및 재난예방의 기초 데이터로 사용하고 있는 ‘문화재 위험지도’가 뒤늦게나마 국내서도 만들어진다.

문화재청(청장 김 찬)은 2015년까지 총 7억원의 예산을 투입, 문화재 관리상태를 과학적인 지표로 분석ㆍ정리, 재난피해를 사전에 예측할 수 있는 ‘문화재 재난위험지도’를 올해부터 연차적으로 개발한다고 26일 밝혔다.

문화재청에 따르면 최근 4년간 자연재해로 인한 문화재 파손ㆍ손실건수는 모두 147건으로 인위적 재난에 속하는 화재 24건보다 6배이상 많이 발생했다.

이에, 문화재청에서는 문화재 주변 지역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재난위험정보와 문화재현장의 관리상황을 등급별로 나타내고, 재난이 발생할 확률이 높아지면 어떤 문화재가 어느 정도 위험한지를 지도 화면상에서 알려줌으로써 신속한 대처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한 것.

특히, 개별 문화재의 재난위험 등급을 객관적인 수치로 관리, 이 문화재 위험지수를 지리정보시스템(GIS)과 연계시켜 어느 지역의, 어떤 문화재가, 어떤 재난에 취약한 지, 어떤 환경 속에 있는지를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했다.

문화재청 안전기준과의 한 담당자는 “문화재 재난위험지도가 정비되면, 지난 여름 폭우로 인해 낙안읍성 일부와 이화장 담장이 무너지는 등의 일이 현저히 줄어들 것” 이라면서 “숭례문 소실과 같은 인위적 재난까진 힘들더라도, 홍수ㆍ태풍ㆍ산사태 등 온갖 자연재해에 노출돼 있는 문화재들에 체계적인 사전대비책을 세울 수 있다” 고 설명했다.

<박동미 기자@Michan0821>/pdm@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