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 김근태는 누구, 고문속에서도 민주화를 외친 큰 별
세밑인 30일 세상을 떠난 김근태 민주통합당 상임고문은 민주화 운동의 대부로 불릴만큼 민주화운동에 큰 자취를 남겼다.

그는 민주화세력의 재야리더로 통했고, 정치권에 입문한 뒤에도 2번이나 대선후보 경선에서 중도하차하는 등 자기희생의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일생의 투쟁의 삶이었더는 그는 1965년 대학 입학후부터 반독재 민주화투쟁에 나섰다. 1967년 서울대 상대 학생회장 때 총ㆍ대선 부정선거 항의집회를 하다 제적당해 군대에 강제징집됐다.
그는 1970년 복학했지만 이듬해 `서울대생 내란음모사건’에 연루돼 지명수배됐다. 이 때부터 1979년 10ㆍ26 사태 때까지 도피생활을 하면서 `공소의 김근태‘라는별명까지 붙었다.

김 고문은 1983년 첫 공개적 민주화운동 조직인 민주화운동청년연합(민청련)을 결성해 1985년 투옥될 때까지 두 차례 의장을 맡았다. 그는 이 때 남영동 대공분실로 끌려가 보름 가까이 “스스로 죽고 싶었다”고 말할 정도로 여덟차례 전기고문과 두 차례 물고문을 받았다. 이 고문 후유증이 파킨슨병으로 이어졌다는 시각이 유력하다..

그는 이당시 악몽같은 고문경험을 ‘남영동 대공분실’이라는 책으로 펴냈고, 미국 로버트케네디 인권상을 부인 인재근씨와 공동 수상했다. 김 고문은 자신을 고문했던 `고문기술자‘ 이근안씨에게도 역사적 용서를 했다.

김 고문은 1989년 전국민족민주운동연합(전민련) 활동을 하다 또다시 구속돼 1992년까지 투옥생활을 했다.김 고문은 1994년 제도권정치로 눈을 돌렸다. 그는 민주자유당에 반대하는 모든세력을 결집하는 민주연합정당을 만들기 위해 출범한 통일시대민주주의국민회의의 공동대표를 맡았다. 1995년 새정치국민회의 부총재로 김대중 전 대통령과 손잡고 본격적인 정당생활을 시작했다. 1995년 10월 에드워드 케네디가 당시 김영삼 대통령을 만나 김 고문의 사면복권을 요청해 김 전 대통령이 이를 수용했다는 것은 유명한 일화다.

1996년 15대 총선에서 서울 도봉갑에 출마해 2004년 17대 총선까지 내리 3선 배지를 달았다.반면 그는 동교동계 등 구여권 주류세력에 밀려 `재야의 리더’라는 무게에 걸맞은 당직을 맡지 못했다. 2002년 민주당 대선후보 경선 때는 불법 정치자금에 대한 양심고백을 하며 중도에 경선 중단을 선언했다.그러나 2002년 대선에서 노무현 후보가 당선되고 2004년 총선 때 열린우리당이 과반의석을 확보한 이후 정동영 의원과 함께 열린우리당의 양대 계파 수장으로 자리매김했다. 재야 및 486 운동권 출신 의원들을 중심으로 `GT계‘라는 세를 형성했다.

2004년 보건복지부 장관으로서 입각 경험을 쌓았고, 2006년 5ㆍ31 지방선거 참패이후 “스스로 독배를 들겠다”며 당의장을 맡아 당을 진두지휘했다.2007년 열린우리당 후신인 대통합민주신당의 대선 경선 때 그는 또다시 기득권을 버렸다. 범여권 대통합과 오픈 프라이머리(국민경선) 실현이라는 대의를 위해 대선 불출마를 선언했다. 김 고문은 2008년 18대 총선에 나섰지만 낙선했다.

내년에 재기를 노렸던 그는 입원 치료 중인 지난 8일 딸의 이틀 후 결혼식에 참석하지 못할 상황에 처하자 억측을 피하기 위해 파킨슨병 투병 사실까지 공개하며 재활 의지를 다졌지만 결국 합병증이 겹쳐 상을 이겨내지 못하고 이날 가족과 민주통합당의 이인영 최고위원이 지켜보는 가운데 운명했다.

헤럴드생생뉴스/onlinenew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