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한국인 3명 중 1명이 암, 생존율은?
암환자 80만명 이상…5년 생존율 62%

우리나라 국민들이 제 수명까지 살면서 암에 걸릴 확률은 36% 정도로, 약 3명 가운데 1명이 평생에 한 번은 암과 맞닥뜨리는 것으로 분석됐다.

그러나 최근 국내 암 환자의 5년 생존율은 60%를 웃돌아 현재 무려 80만명이상이 최근 10년내 암 진단을 받고 극복했거나 치료를 받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보건복지부와 중앙암등록본부는 이 같은 내용을 포함한 국가암등록통계(2009년 기준)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우리나라 국민이 평균수명인 81세까지 생존할 경우 암에 걸릴 확률은 36.2%로 나타났다.

성별로 나눠보면 남성은 5명 가운데 2명, 여성은 3명 가운데 1명꼴로 남성이 여성보다 암 발병 확률이 좀 더 높았으며 암 종류별 평생 발병 확률은 남자의 경우 △위암 9.1% △폐암 7.3% △대장암 7.0% △간암 5.1% △전립선암 4.2% 등의 순으로 높았고, 여자의 경우 △갑상선암 7.9%△대장암 5.0% △위암 4.8% △유방암 4.2% △폐암 3.2% 등이 1~5위를 차지했다.

2009년에 우리 국민들이 가장 많이 진단받은 성별 ‘5대 암’은 남자의 경우 위·대장·폐·간·전립선암, 여성의 경우 갑상선·유방· 대장·위·폐암으로 집계됐다.

연도별 추이를 살펴보면, 1999년 이후 2009년까지 전체 암 발병 건수는 연평균 3.4% 정도 늘어났다. 남자(1.6%)보다 여자(5.5%)의 증가율이 더 높았다.

남성에게서는 갑상선암(연평균 25.6%), 전립선암(13.2%), 대장암(6.7%) 등의 증가세가 뚜렷했고, 여성의 경우 갑상선암(25.4%), 유방암(6.3%), 대장암(5.1%) 등이 꾸준히 늘었다. 특히 여성의 대장암은 2009년 발병자 수 기준으로 처음 위암을 앞질렀다. 반면 여성의 간암(-1.5%), 자궁경부암(-4.4%)은 줄어드는 추세로 나타났다.

2005~2009년 사이 암을 확인한 환자의 5년 생존율(이하 생존율)은 62.0%로 집계됐다. 평균적으로 처음에 암 진단을 받은 10명 가운데 6명은 5년이상 살 수 있다는 얘기다.

특히 여성 환자만 따지면, 생존율은 이미 70%를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암 생존율은 △1993~1995년 41.2% △1996~2000년 44.0% △2005~2009년 62.0% 등으로 계속 높아지는 추세다.

갑상선암의 생존율이 99.7%로 가장 높았고, 대장암(71.3%)과 위암(65.3%) 등도 5년 넘게 살 수 있는 확률이 50%를 웃돌았다. 반면 췌장암(8.0%), 폐암(19.0%), 간암(25.1%) 등은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이었다.

헤럴드생생뉴스/ onlinenew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