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한국 가계고통지수 역대 3번째…리먼사태때와 비슷
고물가에 실질임금 감소탓
올 한 해 가계의 체감경기를 나타내는 ‘경제고통지수’가 역대 3번째로 높았던 것으로 조사됐다. 물가는 치솟는데 실질임금은 오히려 줄어든 탓이다.

28일 한국은행, 고용노동부, 통계청 등에 따르면 올 들어 9월까지 실질임금 증가율은 -3.49%로 나타났다. 역대 3번째 낮은 수준이다. 외환위기 때인 1998년 -9.31%로 최저치였고, 금융위기가 닥친 2008년에는 -8.54%로 두 번째로 낮았다.

올 한 해의 가계경제 상황이 1998년과 2008년에 비할 정도로 좋지 않았다는 의미인데, 1994년부터 2010년까지 이들 3개년을 제외한 다른 해의 실질임금 증가율은 0.98∼8.16%로 모두 증가했다. ▶관련기사 7면

실질임금이 감소하면서 올 들어 10월까지 경제고통지수는 7.5에 달했다. 역시 2001년, 2008년 이후 가장 높았다.

경제고통지수는 소비자물가 상승률, 실업률을 더해 국민이 체감하는 경제적 삶의 어려움을 수치로 나타낸 것으로, 올해 1∼10월 평균 소비자물가 상승률 4.0(%)과 실업률 3.5(%)를 합산한 값이다. 2001년에는 8.1(물가 4.1+실업률 4.0), 2008년에는 7.9(물가 4.7+실업률 3.2)였다.

문제는 내년 상반기다. 물가와 실업률 모두 비관적이다. 세계 경기의 둔화 속도와 폭이 예상을 웃돌면서 경제 상황은 더욱 어려워질 전망이다. 정부, 한국은행, 각종 연구소는 내년도 경제성장률을 당초 예상보다 이미 낮춰잡은 상태다.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가계는 소득이 있어야 돈을 쓰든지 아끼든지 할 텐데 아예 소득이 줄면 선택의 여지가 없다”며 “물가가 비싸면 덜 사면 되지만 실제 소득이 줄어들면 구매 자체가 어려워진다”고 지적했다. 그는 또 “내년도 경제성장률이 둔화해 실업률이 높아지면 가계가 느끼는 고통은 더 커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홍승완 기자> / swa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