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5자(者), ‘김정은 체제’ 인정 공식화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사망 이후 혼돈의 흐름을 보이던 5자(한ㆍ미ㆍ일ㆍ중ㆍ러)가 빠른 속도로 후계자인 ‘김정은 체제’의 인정을 공식화하고 있다. 5자는 한반도 상황의 안정적 관리를 목표로 북한에 대한 전략적 접근을 시도하고, 북측도 김 위원장의 유훈에 따라 자연스럽게 이를 받아들이는 흐름이다.

이에 따라 북핵이나 6자회담 재개 등 동북아 정세는 새로운 전기를 맞을 것으로 보인다. 우선 주목할 대목은 5자가 김정일 사망에 따른 후계체제로서 김정은 체제를 사실상 부인하지 않고 있는 모습이다.

중국은 후진타오 주석을 비롯한 정치국 상무위원 9명 전원이 조문함으로써 김정은 체제에 대한 강력한 지지의사를 표명했다.

미국은 힐러리 클린턴 국무장관이 “북한의 평화적이고 안정적인 ‘전환(transition)’을 원한다”는 메시지를 보내고 21일 백악관 대변인이 김정일의 후계자로 김정은의 이름을 공식 언급하며 사실상 김정은 체제를 인정했다.

러시아와 일본도 ‘조문외교’를 고리로 김정은 체제를 승인하는 메시지를 보냈다.

이런 흐름 속에서 이명박 대통령은 22일 청와대에서 열린 여야 대표ㆍ원내대표와의 회담에서 “북한체제가 확립되려면 시간이 걸릴 텐데 우리나라나 미국·일본·중국·러시아 모두 북한이 빨리 안정되기를 바란다는 면에서 뜻을 같이 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이 대통령이 김정은 체제를 직접 지칭하지 않았으나 사실상 김정은 체제를 사실상 인정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우리측 6자회담 수석대표인 임성남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도 이날 중국으로 출국하기에 앞서 “한중 양국은 한반도 상황의 안정적 관리가 필요하다는데 인식의 일치가 있다”고 말한 것도 맥락을 같이한다.

임 본부장은 조만간 우다웨이(武大偉) 한반도 사무특별대표와 협의를 갖고 김정일 사후의 전반적 상황을 평가하면서 6자회담 재개와 한반도의 정세운용 방향에 대한 보다 큰 틀의 논의를 벌일 예정이다.

이런 기조 위에서 5자는 북한을 상대로 대화의 손을 내밀고 있고 북한도 김 위원장의 ‘유훈’에 따라 대북 식량지원과 비핵화를 위한 대화테이블에 나오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한편 북한은 지난 19일(현지시간) 뉴욕채널을 통한 북미간 실무접촉을 성사시켰다. 이는 6자회담이 곧 가시권에 들어올 것임을 시사하고 있다. 북미가 연초에 3차대화를 갖는다면 이는 북한이 비핵화 사전조치를 수용하고 미국이 대규모 대북 영양지원을 하는 ‘빅딜’을 전제로 할 가능성이 높다.

<양대근 기자 @bigroot27> bigroot@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