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가계대출자 65%가 고금리 ‘허덕’
시중銀 잇달아 대출금리 인상

10%이상 高利 대출도 3.8%


경제불안 저금리 기조 확산

당장 싼 변동금리 찾기 급급

고정금리 확대 방침도 주춤



시중은행권이 잇따라 가계대출 금리를 올리면서 5% 이상 고금리에 내몰리는 대출자가 급격히 늘고 있다. 특히 금융당국의 권고에도 불구하고 전체 가계대출에서 고정금리가 차지하는 비중은 0.8%포인트 느는데 그쳐 가계부채 연착륙 대책의 약발이 먹혀들지 않고 있다는 지적이다.

30일 금융권 등에 따르면 지난 1월 가계대출 금리(신규취급액 기준)가 5%를 넘는 대출자 비중은 48.7%였지만 지난 9월에는 64.6%로 무려 15.9%포인트 급증했다. 은행권에서 보기드물게 10% 이상 고금리에 물려있는 신규 대출자도 2.5%에서 3.8%로 늘었다. 같은 기간 대출 금리가 4.0~5% 미만인 대출자 비중은 48.1%에서 34.8%로, 4.0% 미만은 3.2%에서 0.6%로 크게 줄었다.

올 초 신규 가계 대출자 절반이 5%보다 낮은 금리를 적용 받았지만 지금은 대출자 10명 중 6.5명이 5% 이상 높은 이자를 내고 있는 셈이다. 그만큼 신규 대출자가 이용할 수 있는 저금리 대출 상품이 대폭 축소된 것으로 해석된다.

문제는 고금리 이자를 물고 있는 가계 대출자가 늘어남에 따라 금리 인상시 가계의 금융비용 부담도 커진다는 데 있다. 3/4분기 840조원에 달하는 가계대출(신용판매 제외)에 금리가 0.1%포인트 오르면 8400억원의 이자를 더 내야한다.

지난 9월 현재 은행권의 가중평균 가계대출 금리(신규취급액 기준)는 5.66%로, 지난해 12월 5.08%보다 0.58%포인트 높아졌다. 가계대출 금리는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2008년 7.19%에서 2009년 5.73%, 2010년 5.38%로 낮아졌지만 올해는 1, 2월을 제외하면 줄곧 5.4%를 상회하며 꾸준히 올랐다.

금융당국이 지난 6월 발표한 가계부채 종합대책의 핵심인 ‘고정금리 대출 확대’ 방침도 주춤하고 있다. 신규 가계 대출자 중 고정금리 상품에 가입하는 비중은 지난 6월 11.7%에서 7월 14.3%, 8월 18.0%, 9월 26.2%로 확대됐지만 10월 들어 증가폭은 2%포인트로 둔화됐다. 이에 따라 전체 가계대출(잔액 기준)에서 고정금리가 차지하는 비중은 지난 6월 7.3%에서 9월 8.1%로 0.8%포인트 증가하는데 그쳤다.


실제로 우리은행이 지난 8월 출시한 고정금리 상품인 ‘금리고정모기지론’ 취급 비중은 8월 47.3%에서 9월 75.5%, 10월 84.4% 등으로 크게 늘었지만 11월(28일 기준)에는 86.2%로 증가폭이 축소됐다.

이는 글로벌 경제불안으로 저금리 기조가 확산되고 있어 대출자들이 당장에 싼 변동금리 상품을 찾고 있기 때문이다. 금융권 관계자는 “최근 각국 중앙은행들이 기준금리를 동결하거나 인하하고 있다”면서 “한국은행도 5개월째 금리를 동결하는 등 금리 인상 시기기 지난 것 아니냐는 인식이 많다”고 전했다.

일각에서는 잔액 기준 고정금리 대출 비중을 2016년까지 30%로 확대하려던 금융당국의 목표가 사실상 불가능한 것 아니냐는 회의론도 제기된다. 

최진성 기자/ipe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